캠퍼스 순례/대림대학

대림대학(학장 이정국·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526의7)은 지난 70년대 기술인력 양성에 중점을 두고 설립된 대학들 가운데도 가장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독특한 교육역량을 바탕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중장기계획(안)을 마련하는 등 다양한 교육사업을 펼쳐 왔기 때문이다.

특히 ‘교육 백년지 대계’를 교육철학으로 교육의 최일선에서 산·학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은 물론 실무중심의 교육기관으로 정보화사회를 선도하고 있다.

또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 대비, 수요자 중심의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화 및 전문화를 동시에 추구하며 특화된 교육과정을 운영, 미래가 요구하는 전문인력을 육성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대학은 지난해부터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지역사회 실업계 고교들과 함께 학생들의 창의력을 발굴하고 기술교육의 다양화를 위해 ‘대림 아카덱스(아카데미+엑스포)’를 추진, 특성화된 전문교육기관으로 거듭 나고 있다.

◇산·학협력 기술원

이 대학은 산·학 연계를 통해 실용기술의 새로운 메카로 성장하기 위해 학내의 전문인력과 첨단기술 및 각종 기자재를 활용, 위탁연구·기술자문 및 지도·교육 등을 실시, 중소기업의 경쟁력과 생산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으며 산·학 협동을 통한 우수 대학 육성을 위해 지난해부터 오는 2009년까지 단계별 계획(안)을 마련, 추진하고 있다.

또 산·학 협력체제 구축을 위해 기존의 협력기술원을 산·학기술연구소로 변경하고 대학부설 사회과학연구소 설립도 추진하고 있으며 오는 2006년까지 자동차 문화센터 건립과 산·학협력을 위한 콘소시엄 구성과 체결은 물론 지역내 실업계 고교 및 대학 등과 점차적으로 교육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창업보육센터

이 대학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신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자본이나 기술개발능력이 부족한 창업 희망자나 초기 창업자 등에게 우수한 연구인력과 시설 및 기자재 등을 지원, 창업은 물론 성공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특히 실업계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연계교육은 고교와 대학이 상호협력을 통해 졸업 후 각자 전문분야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서울·경기지역 실업계 고교와 협력을 맺고 조기 인재양성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수도권(중부권 포함) 실업계 고교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업고생 기능경진대회 및 공모전 등을 통해 정보화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자긍심과 창의력 등을 갖춘 자원을 발굴하고 고교와 대학간 연계를 통해 교육의 활성화와 우수학생을 유치하고 있다.

◇특성화교육

지난 97년 정부로부터 전자계산분야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된 대림대학은 올해까지 산업분야에서 인문분야에 이르기까지 모두 6개 분야에 걸쳐 특성화 대학으로 선정되는 등 우수한 특성화 교육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내일을 준비하는 교육기관으로 자리를 매김하고 있다.

또 이같은 특성화 교육을 기반으로 학생중심의 자유롭고 혁신적인 학사시스템과 열린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각종 학사정보는 물론 민원서비스와 학내정보 등을 한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 서비스체계를 구축, 학생들에게 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 이정국 학장 인터뷰

이정국 대림대학 학장은 “대학은 모름지기 젊은이들에게 미래를 제시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림대학의 차별화방안은.

▲대학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는 학생들에게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느냐에 목적을 두고 교육에 촛점을 맞춰야 하며 단순히 졸업생만을 길러 낸다는 식의 교육은 지양돼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대림대학은 산업체 현장에서 어떤 교육을 필요로 하는지 교육의 중점을 어디에 둬야 하는지에 대해 교육의 목표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교수들이 현장체험을 통한 현장중심의 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학기마다 10% 가량의 교수들에 대해 산업체 연수 근무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취업난을 극복해 나갈 방안은.

▲한두번의 이벤트 행사를 통해 취업율을 높일 수도 있겠지만 이같은 방법보다는 산업사회에 학생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실무교육에 중점을 두고 꾸준히 교육하고 있으며 나아가 장기적인 안목으로 개인이 아닌 내가 아닌 전체를 생각하고 위할 수 있는 전인교육 중심의 교육을 통해 산업사회속에서 경쟁력을 키워나 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발전 방향은.

▲학교의 발전은 곧 좋은 학교가 되는 것이라 생각한다. 좋은 공장에서 좋은 제품이 생산되듯 훌륭한 학생들을 배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데 기초를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산업체에서 인정받는 대학으로 발전하기 위해 인적자원과 시설투자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