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선을 보일 ‘도니 다코(Donnie Darko)’는 지난해 미국 선댄스영화제와 올해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서 주목을 받았던 영화.
상식을 깨는 파격적인 설정, 몽환적인 분위기의 화면, 최면을 거는 듯한 음악, 인과관계가 뒤엉킨 듯하면서도 아귀가 딱딱 맞아떨어지는 치밀한 줄거리, 관객의 뒤통수를 치는 마지막 반전 등이 열광적인 지지를 이끌어냈다.
고교생 도니 다코는 가족이나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이상 성격의 소유자. 어느날 밤 이상한 목소리를 따라 집 밖으로 나가자 토끼 가면을 쓴 괴물로부터 28일 6시간 42분 12초 뒤에 세상의 종말이 닥쳐온다는 예언을 듣는다.
이튿날 아침 골프장 그린에서 잠이 깬 그는 집에 돌아와 자신의 방이 폭격을 맞은 듯 부서져 있는 것을 발견한다. 집을 비운 사이 지붕에 정체불명의 대형 여객기엔진이 떨어진 것이다. 가족들은 죽은 줄 알았던 도니가 멀쩡히 살아 있는 것을 보고 반가워하면서도 미지의 공포에 대한 불안을 느낀다.
학교 친구들도 그를 이상한 존재로 여기며 슬슬 피하지만 새로 전학온 결손 가정의 그레첸만이 유일한 대화 상대가 되어준다. 운명의 날이 다가올수록 도니 주변에서는 기괴한 일이 일어나고 학교와 마을은 온통 공포감에 휩싸인다.
‘도니 다코’는 선댄스영화제에서 ‘메멘토’와 함께 시나리오상 부문에서 치열한 경합을 벌였다. ‘메멘토’가 시퀀스를 역순으로 배치해 인과관계를 부각시킨 반면에 ‘도니 다코’는 아인슈타인의 시간여행 개념을 동원해 원인과 결과를 뒤바꿔 놓았다.
관객들도 장자가 ‘호접몽(胡蝶夢)’을 꾸는 것처럼 꿈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비몽사몽간에 빠져 있다가 마지막 반전이 이뤄지는 순간 꿈과 현실이 뫼비우스의 띠로 연결돼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27세의 신예 감독 리처드 켈리가 각본과 연출을 맡았으며 ‘사랑과 영혼’의 패트릭 스웨이지의 모습도 만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