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을 어디론가 떠나고 싶다면, 가야금과 해금 등 우리음악이 있는 그 곳은 어떨까.
경기도립국악단이 ‘가을음악여행’이란 테마로 오는 24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37회 정기공연을 갖는다.
이번 공연은 국악계의 최고 명성을 가지고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는 음악대학 교수 4명이 협연하는 농익은 무대로 어느 공연보다 완성도와 깊이가 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립국악단 이준호 예술감독의 지휘하에 피리에 이화여대 강영근 교수, 가야금에 단국대 서원숙 교수, 해금에 한국예술종합학교 정수년 교수, 대금에 국립국악고등학교 음악교사인 최삼범씨가 협연한다.
국악계 대들보들이 꾸미는 풍성한 무대는 프로그램도 다채롭다. 느리면 느린대로 깊고 넉넉한 멋과 여유가 있고, 빠르면 빠른대로 그 변화가 다채로워 사람의 마음을 휘어잡는 우리 음악의 아름다움이 곳곳에 묻어나도록 했다.
첫번째 무대는 정악피리의 대표곡중 하나를 협주곡 형태로 옮긴 피리협주곡 ‘자진 한잎’을 강영근 교수의 협연으로 장식한다. 전통가곡의 성악적 분위기를 기악으로 푼 곡으로 도도하면서도 장엄한 기풍이 풍긴다.
두번째 작품은 ‘김죽파류 가야금 산조’로 서원숙 교수가 ‘곰삭은 곰국맛’을 연상케하는 농익은 연주로 들려준다.
다음은 도립국악단 민요팀이 서울·경기지방의 대표적인 잡가중 하나인 ‘장기타령’을 경기민요 특유의 경쾌하고 흥겨움으로 선사한다.
이어 정수년 교수가 절절한 해금소리로 김영재 작곡의 해금협주곡 ‘공수받이’를 들려준다. ‘공수’란 무당에게 신이 내려 신의 말을 발성하는 것으로, 이 곡은 경기 무속음악의 장단과 선율진행, 경기굿의 특징적인 시김새를 활용하는 한편 바라·징·목탁·방울로 굿판의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표현했다.
마지막 무대는 김희조 편곡의 ‘서용석류 관현악을 위한 대금산조’. 최삼범씨가 자연의 소리를 가장 가깝게 재현했다는 맑고 깊은 대금 소리의 진수를 선사하며 편안한 명상의 시간으로 인도한다.
이준호 예술감독은 “도립국악단의 ‘가을음악여행’은 우리나라의 내로라하는 중견 국악인들이 관현악단과 함께하는 풍요로운 무대로 깊고 그윽한 국악의 향기를 듬뿍 전하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230-3242∼7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