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과 흥의 ‘경기소리’의 맥을 이어오고 있는 임정란씨(한국경기소리보존회 이사장·경기도립국악단 민요악장)와 그의 제자들이 경기소리 정기공연을 갖는다.
(사)한국경기소리보존회가 주최하는 공연은 오는 31일 오후 4시 ‘전통과 창작의 어울림’이라는 주제로 과천시민회관 대극장에서 열린다.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1호 경기소리 예능보유자인 임정란씨를 ‘전통’이란 테마로, 그의 문하생들이 관현악에 맞춰 팔도민요, 현대 창작곡 등을 부르는 것을 ‘창작’으로 이름짓고 그들의 어우러짐을 주제로 한다.
경기소리는 서울·경기지방에서 부르는 경기잡가와 경기민요 등을 통틀어 부르는 명칭으로 서도·남도소리와 대조적으로 음색이 밝고 경쾌해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고 있다.
임정란씨의 스승인 묵계월씨(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는 “제자가 지난 1999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1호 경기소리 보유자로 지정된 이래 경기소리의 발전과 보급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열과 성을 다해 학생들을 지도하며 국악의 참맛과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고 있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40년간 경기소리를 해온 임씨는 “경기민요가 대중화되고 활성화되는 것이 흐뭇하다”며 “제자들을 가르치느라고 하루 7∼8시간씩 소리를 하지만 열심히 따라하는 제자들을 보면 보람이 크다”고 답했다.
그는 또 “외길을 걸어오면서 힘든 순간도 많았지만 소리를 할때면 모든 잡념이 사라진다”며 “경기소리가 모두 좋지만 ‘노랫가락’과 ‘금강산타령’이 더욱 맘에 끌린다”고 덧붙였다.
이번 공연에 대해 그는 “관람객들이 경기민요와 함께 창작곡, 관현악, 사물놀이 등 다양한 우리 소리를 접할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무대에는 임정란씨를 비롯, 묵계월 선생,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 전수교육조교 이오규 선생, 도립국악단 사물놀이팀, 임씨의 문하생 등 50여명이 출연한다.
이번 소리축제의 서막은 임정란 명창이 문하생들이 나와 ‘선유가’를 선보이고, 묵계월 선생과 함께 ‘출인가’를 부른다. 이어 국립국악관현악단의 연주에 맞춰 ‘우리 비나리’ ‘구아리랑’ ‘아리랑’ ‘방아타령’ ‘한강수타령’ ‘장기타령’ ‘궁초댕기’ 등 경기민요 20여곡을 부른다. 이오규 선생은 가곡 ‘승무’를 협연하고, 도립국악단 사물놀이팀이 신명나는 ‘신모듬’을 연주하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공연은 무료다. (02)503-5825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