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한·일 월드컵 수원경기의 화려한 피날레는 대∼한민국의 국악과 함께’경기도립국악단(예술감독 이준호)이 2002월드컵 성공개최 축하를 위한 제34회 정기연주회 ‘우리가락 한마당’을 25일 오후 7시30분 경기도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개최한다.
도립국악단 부지휘자 공우영씨의 지휘로 펼쳐지는 이번 공연은 1부에서 전통국악을, 2부에서는 창작 국악의 진수를 맛볼 수 있다.
채주병 악장의 집박으로 시작되는 1부 첫곡 ‘해령’은 여민락 계통의 음악으로 선율이 웅대하고 화평해 조선시대 장악원의 으뜸가는 대곡으로 손꼽힌 곡이다.
거문고 중주 ‘출강’은 1964년 북한의 거문고 연주자이자 작곡가인 평양음악무용대학 김용일 교수가 작곡한 것으로 총 3악장으로 구성, 다이나믹한 선율을 선사한다. 문수연 박성미 권인옥 박성아 이승화 조경선 유은정 허익수 등 9명의 연주자들이 품격높은 거문고의 하모니를 들려준다.
다음 ‘수룡음’은 조선시대 선비들이 즐겼던 풍류음악으로 주로 관악합주나 생소병주로 널리 연주되던 곡. 이번 공연에서는 이완수가 단소를, 이시온이 아쟁을, 허지영이 생황을, 김정선이 양금을 연주, 4가지 악기의 운치있는 하모니가 선보인다.
또 도립국악단 민요팀이 산타령의 머릿곡인 ‘놀량’과 경기민요의 흥겨움이 묻어있는 ‘장기타령’을 선사한다.
2부 공연에서는 신세대들도 충분히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국악관현악 3곡이 눈길을 끈다.
이준호 작곡의 ‘판’은 모든 것이 하나로 묶어지는 동질성 및 화합을 나타내며, 놀이문화의 ‘장’으로 함축된 대동축제를 의미한다. ‘판’은 악장의 구분없이 타악기와 태평소의 어울림, 그리고 전체 관현악과의 조화가 ‘판’으로 화합되는 관현악곡이다.
김희조 작곡의 ‘서용석류 대금산조’는 서용석에게 직접 대금을 사사한 도립국악단 김응호 수석이 협연, 신들린 듯한 대금 연주를 선보인다.
공연의 피날레를 장식할 원일 작곡의 ‘신뱃놀이’는 경기민요 뱃노래의 선율과 기본 장단을 바탕으로 리듬의 유희를 위한 고품격 놀이음악이다. 특히 변화무쌍한 변주의 형태와 섬세한 가락이 돋보인다. 230-3242∼7
/고영규기자 ygk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