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조직 이대로 둘 것인가

조직폭력배가 새벽에 온몸이 흉기로 난자 살해된채 안성의료원 응급실 앞에 버려진 사건은 우리 사회의 법치질서에 또한번 심각한 경종을 울리고 있다. 이 사건의 희생자는 평택일대서 활동하는 폭력조직 C파의 부두목인 이모씨이고, 최근 출소한 두목 김모씨가 신변보호를 요청한점에 미루어 폭력배간의 세력확장 또는 조직내 알력에 의한 납치 살해일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추석을 한달여 앞두고 방범활동이 강화되고 있으며 특히 경제적 약자 갈취 폭력배 소탕기간에 이런 끔찍한 사건이 터져 민생치안의 허술함을 짐작케 한다.

경찰은 그동안 조직폭력배를 단속키 위해 각 지방청마다 형사기동대를 운영하고 특별수사대까지 두고 있으나 검거율은 낮은 편이다. 여기에다 90년 범죄와의 전쟁때 대량으로 구속됐던 폭력조직 두목들이 이미 풀려나면서 조직이 재건됐거나 재건될 움직임마저 보이고 다. 또 그동안 힘의 공백기를 이용해 신흥조직이 생겨나 세력확장 과정에서 충돌을 빚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신흥조직은 관할구역 확장을 위해 더욱 잔인한 방법으로 상대를 제압함으로써 실력을 과시하려는 수법을 쓴다.

경찰에 따르면 도내서 활동하고 있는 폭력조직은 20여개파 560여명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는 경찰이 파악한 숫자일뿐 실제로는 이보다 훨씬 많은 폭력조직이 활개를 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들의 이권영역도 다양해져 종래 룸살롱, 나이트클럽, 안마시술소, 성인오락실, 마약밀매등에서 재개발지역의 입찰과 신축 아파트단지의 새시공사 개입, 그리고 기업의 노사분규 해결사 노릇까지 하며 금품을 뜯고 있다.

이들 범죄조직은 지역유지로 행세하거나 그럴듯한 회사간판을 내걸고 위장하기도 한다. 때문에 명확한 증거를 확보하지 않으면 검거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조직범죄로부터 사회를 지키기 위해서는 치안당국이 사회적 구조악의 척결이라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전면적·지속적으로 추진해야만 단속에 실효를 거둘수 있다. 폭력은 모든 범죄의 원천이자 출발이라는 점에서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폭력 난동 등 범법을 철저히 추적·단속함과 함께 배후에 있는 거물급들의 은밀한 범죄까지도 색출, 장기간 사회와 격리시켜야 할 것이다. 상습 폭력조직의 경우 장기형에 처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교도소를 드나들며 출소한 폭력배들이 조직을 재건해 세를 확장하는 것을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된다. 아울러 내년 지방선거와 대선을 앞두고 폭력조직이 세를 넓히며 발호하는 것도 막아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