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받아야할 ‘환경빅딜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쓰레기장과 오·폐수 처리장 등 환경시설 문제로 시끄러운 가운데 도내의 상당수 지자체가 각고의 노력끝에 ‘환경빅딜’을 이룬 성공사례는 신선하기까지 하다.

광명시와 서울 구로구의 경우 지난해초만 해도 쓰레기와 오·폐수 처리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 특히 광명시는 오·폐수 처리장을, 구로구는 쓰레기장을 지역내에 설치하기 위해 예산확보와 함께 입지선정을 둘러싸고 난항을 겪었다. 그러나 지난해 5월 광명시는 전국 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구로구와 오·폐수 및 쓰레기를 교환 처리하는 ‘환경빅딜’에 합의했다. 광명시 소각장에서 구로구 쓰레기를 처리하고, 광명시 하수는 서울 강서구 서남하수처리장을 쓰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빅딜로 광명시는 약 1천억원, 구로구는 400억원의 시설 건설비를 줄였다.

구리시도 오는 9월 완공 예정인 구리소각장을 남양주시와 공동으로 사용하고, 냠양주에는 매립장을 건설해 쓰레기 소각 잔재물을 처리하기로 했다. 남양주시가 소각장 건설비 586억중 66억원을 부담키로 합의한 것이다.

공동시설 건립도 괄목할만한 환경빅딜이다. 용인·성남·광주시 등 경기도 동부권 10개 시·군이 중복투자와 님비현상 해소 차원에서 각종 폐기물 처리시설의 종류별 광역화에 합의한 것이다. 이들 시·군은 음식물 쓰레기와 오·폐수 등 각종 폐기물 처리시설을 자기 지역 실정에 맞게 설치해 인접 자치단체와 공동으로 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파주시와 김포시도 양 자치단체가 공동투자한 광역소각시설을 파주시에 건설할 계획이며 과천시와 의왕시는 지난해부터 쓰레기를 공동처리하고 있어 좋은 선례가 되고 있다.

이처럼 환경시설 빅딜과 공동시설 사용으로 혐오시설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자치단체도 많지만 지역이기주의로 공사가 중단된 곳도 많다. 님비현상으로 공사가 중단되고 있는 환경시설만 전국적으로 20여곳이 넘으며 여기에 일반 폐기물매립장(13곳)과 소각장 건설(13곳) 등을 합하면 50여곳이 주민 반발로 무산될 위기에 처했거나 중단된 상태다. 본난이 ‘환경빅딜’성공사례를 열거하는 이유는 이러한 빅딜을 다른 자치단체들이 본받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다른 지역엔 건립해도 괜찮고 내 지역은 안된다는 ‘님비(NIMBY)’는 지역감정처럼 망국적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빅딜 ’이 계속적으로 성사되기를 기대하여 마지 않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