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초 외교문서 형태로 재수정 요구

정부는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실태에 대한 분석작업을 조만간 마무리지은 뒤 범정부적 차원의 단계적 대응책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22일 “국사편찬위원회가 진행중인 역사교과서 왜곡실태에 대한 정밀검토 작업을 주초에 마무리하도록 요청한 상태”라며 “이 결과를 토대로 단계적이고 강도높은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국사편찬위는 지난주 학계 전문가 9인이 검토한 1차 정밀검토 결과를 건네받아 사실상 전직원이 동원, 밤샘 분석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학계 전문가 9인이 정밀검토한 왜곡실태 분석결과는 보통 논문 이상의 방대한 분량으로 국사편찬위는 이를 사실기술 오류, 해석과 설명 오류, 역사기술 축소.누락부분등 3개 분야로 나누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정부 분석팀과 국사편찬위는 역사교과서 왜곡문제가 단순한 자구의 문제만이 아니라는 점에서 황국사관에 대한 집중분석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일간 고대, 중세, 현대등 시기별로 왜곡사실을 정밀 분류하는 한편 일본사 미화등 황국사관에 근거한 기술의 문제도 집중 검토하고 있다.

정부는 이같은 분석작업을 위해 각종 국내외 사료를 총동원하고 있으며, 재수정 요구시 이같은 사료도 첨부할 계획이다.

정부는 최종 분석결과가 나오는대로 왜곡대책반 전체회의와 자문단회의를 열어 대응방안을 논의한뒤 이한동 총리 주재로 범정부 대책회의를 거쳐 최종 대응책을 확정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같은 정밀분석 결과가 나온뒤 다음달 1, 2경 구상서(口上書)등 외교문서 형태로 일본에 재수정을 공식 요구하는 한편 일본 정부가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동원할 수 있는 각종 외교적 대응책도 함께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민주당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시정 대책특위’(위원장 박상천)도 23일 첫 회의를 열어 정부의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반’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