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교과서 관련 강경조치, 외교 마찰 조짐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가 한일간 ‘외교마찰’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을 한일관계의 근간을 흔들 수 있는 중대사안으로 규정,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이 문제를공식 거론하고 최상룡 주일대사를 일시 소환하는 등 강력히 대응키로 했다.

그러나 일본은 ‘일본정부의 역사인식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다’는 기존입장을 되풀이, 역사교과서 문제가 한일간 외교마찰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임성준 외교부 차관보는 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정부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파문과 관련, 주일대사를 귀국토록 했다”면서 “일본의 교과서 검정통과 후 동향을 보고 받고 우리 정부의 지침을 하달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역사교과서 문제를 한일관계의 근간에 관한 것으로 대단히 심각히 받아들이며 우리의 목표를 역사교과서의 왜곡된 사실의 시정에 두고 있다”면서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있다면 채택하는데 주저함이 없다”고 밝혔다.

정부의 주일대사 일시소환은 과거사를 왜곡한 역사교과서의 재수정 여부에 대해 일본측이 기존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대한 강력한 대응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가와시마 차관은 “한국측의 우려는 잘 알고 있으나 이번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에 즈음한 관방장관 담화에서 밝힌 것처럼 일본 정부의 역사인식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다는 점을 한국측이 이해해달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에따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제57차 유엔인권위원회에서 정의용 주 제네바대표부 대사를 통해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를 공식 거론키로 했다.

또 정부는 앞으로 국제회의에서 일본의 식민지배 시절 가혹행위, 강제징용 및 한국인 노동자 강제노동 동원행위 등에 대한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 수정을 촉구하는 등 국제문제로 부각시켜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10일 임성준 차관보의 서울주재 외신기자단 회견을 통해 일본정부의 성의있는 조치를 강력히 촉구하는 한편 빠르면 이날중 ‘일본 역사교과서 대책반’을 발족, 본격적인 대책마련에 착수할 방침이다.

/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