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원이 ‘찾아가는 국악원’의 일환으로 15일 오후 6시 평택 남부문예회관서 민속무용, 가야금 , 대금, 경기민요 등 다채로운 국악의 향연을 펼친다.
지역의 국악 활성화를 위해 마련한 이번 공연은 국립국악원 민속단 악장 최경만를 비롯해 정화영(판소리), 장덕화(장구), 지운하(사물놀이), 이춘희(경기민요), 김수연(판소리) 지도위원과 홍금산 무용단 예술감독 등 40여명이 출연한다.
무대는 호남지방의 농악놀이 중 설장구를 바탕으로 새롭게 무용화한 장구춤이 첫선을 보인다.
황병기 작곡의 가야금 독주 ‘침향무’는 서양적인 것과 향토적인 것을 조화시켜 세속적인 아름다움을 법열(法悅)의 차원으로 승화시켜 신라 불교미술의 세계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번 무대에는 여러 사람이 연주할 수 있도록 제주(諸奏)로 편곡했다.
이어 윤재호, 이종호, 최미현이 출연해 양반, 승려, 서민 등 각계각층의 생활상을 풍자한 봉산탈춤을 선보인다. 전 7과장 중 제4과장인 노장춤 과장을 공연하는데 노장(老丈)이 소무(小巫)의 유혹에 빠져 파계한다는 내용으로 노장, 취발이, 소무(小巫) 3인의 삼각관계를 통해 해학적으로 표현했다.
또 높고 맑은 음역에서 연주되는 대금독주 ‘청성곡’도 준비했다. 마지막을 장식할 판굿은 가락과 기예, 놀이 등을 골고루 섞어가며 관객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해줄 것이다. 판굿 공연에서는 농악가락 뿐만 아니라 부포놀이, 장구놀이, 북놀이, 상모놀이 등 갖가지 예능을 펼친다.
이밖에 김수연의 판소리, 부채춤 그리고 경기민요 등도 선보인다. 문의 659-4931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