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한해를 맞으면서 분야마다 새해설계로 바쁜 요즘 도내 미술관들도 올 한해 알차고 특별한 전시를 선보이기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과천의 국립현대미술관을 비롯해 호암미술관, 모란미술관, 한국미술관 등에서는 각종 기획전이나 테마전을 통해 다양한 미술세계를 조명한다.
과천의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의 대표적인 미술관답게 다채로운 기획전을 준비하고 있는데 국내전과 국제 및 해외전시로 나눌 수 있다.
국내전시의 경우 ‘신소장품전 2000’(1월18∼2월18일), ‘한국미술 2001’(3월15일∼5월6일), ‘한국현대미술의 전개-기하학에서 아방가르드까지’(6월21일∼8월1일),‘ 올해의 작가 2001-전광영’(6월28일∼8월15일),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21세기와 지필묵’(12월22일∼2002년 2월17일) 등이 열린다.
신소장품전 2000은 지난 한해동안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수집한 소장품을 전시하는 자리이고, 한국미술 2001은 미술관의 학예연구사가 40대이상의 작가를 다양한 부문에서 3명씩 추천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작가 36명이 작품을 내놓는다. 수묵의 향기, 수묵의 조형은 전통회화의 현대적 변용을 모색한 국내 및 동아시아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전시, 21세기 한국화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자
한다.
국제전은 ‘프랑스 미술관 디스플레이전’(8월31일∼10월28일), ‘플럭서스 1962-1994’(9월7일∼10월28일), ‘중국미술대전 수상작품전’(9월14일∼10월17일), ‘미니멀·맥시멀전’(11월30일∼2002년 1월30일) 등이 마련된다.
이중 플럭서스 1962-1994는 조각과 드로잉 부문 등으로 1960년대 극단적인 반예술 전위운동인 독일의 플럭서스 운동을 다양한 작품과 자료를 통해 재조명하는 전시회이며, 미니멀·맥시멀전은 미니멀리즘 거장과 현대청년작가 30여명이 참여해 미니멀리즘의 미술사적 흐름을 추적한다.
남양주의 모란미술관은 지난해 12월12일 시작된 ‘파파뉴기니아 부족 미술전’을 오는 3월31일까지 선보이는데 이들 부족의 생활용품 전시와 함께 비디오 영상물로 생활상을 소개하고, 4월초에는 제2회 모란조각대상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김태곤의 초대개인전이 계획돼 있다.
또 ‘2001년 오늘의 한국 조각전-4인의 시각’(5월3∼31일)에선 작고작가 김세중·김정숙과 현존작가 윤영자·백문기 등 현대 한국 조각의 원류를 이루는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이게 된다. 한편 제3회 모란조각대상 공모는 9월초에서 10월중순에 있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오는 4월 재개관을 위해 대대적인 내부수리 작업중인 용인 호암미술관은‘금(金)의 미술전’(4월21∼7월15일)과 ‘사군자전’(8월10∼12월31일) 등을 테마전으로 기획하고 있다.
금의 미술전은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금 공예품들이 전시되는 자리로 가야금관 등 선조들의 뛰어난 금세공술과 제작법을 엿볼 수 있는 60여점의 작품이 선보일 예정이다. 또 사군자전은 사군자를 소재로한 족자, 병품, 화첩 등의 작품과 도자기, 공예품 등이 함께 전시된다.
이밖에 용인의 한국미술관은 윤명로·전수천 등 작가 12인이 참여하는 ‘한국현대미술 2001展’과 ‘나혜석 기념 3인의 페미니즘展’을 각각 5월과 6월에 계획하고 있으며, 이천의 해강도자미술관은 세계도자기엑스포가 열리는 8월10일부터 고려 청자나 조선 백자 등을 중심으로 한 전통도자기 특별전을 개최할 예정으로 세부계획을 마련중이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