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러브 오브 시베리아

오랜만에 만나는 사랑의 대서사시 ‘러브 오브 시베리아’무대는 19세기말 20세기초로 거슬러 올라가 제정 러시아. 무대가 무대인 만큼 스케일부터 웅장하다. 스크린에 넘쳐나는 온통 새하얀 러시아 설원과 황금빛으로 물든 시베리아의 침엽수림 풍광은 그 자체만으로도 관객을 압도하기에 충분하다.

웅장한 대자연과 완벽하게 재현된 제정 러시아의 귀족문화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서사 로맨스’에서 해피엔딩을 기대하는 것은 애초부터 무리. 거창한 스케일에 깃든 사랑, 그것도 엇갈린 사랑은 더욱 애틋하기 마련이다. 하물며 한 남자의 운명을 온전히 뒤바꿔 놓을 정도로 파괴력을 지닌 사랑임에야 어떻게 해피엔딩을 상상할 수 있으랴.

순진한 러시아 사관생도 안드레이 톨스토이(올렉 멘쉬코프)와 세상물정에 밝은 미국여인 제인 칼라한(줄리아 오몬드)은 모스크바행 기차안에서 장난스럽게 첫대면한다.

무리지어 기차에 탄 사관생도 가운데 한 사람인 안드레이는 동료들과 함께 교관의 눈을 피해 1등칸에 숨어들었다가 숨이 막힐 만큼 아름다운 미국여인 제인을 만난다.

발명가 더글러스 맥클라칸이 ‘시베리아의 이발사’란 벌목기를 정부에 납품하기 위해 고용한 로비스트인 제인은 사관학교 교장이자 황제의 오른팔인 레들로프 장군을 유혹하려고 사관학교를 찾았다가 안드레이와 운명적으로 재회한다.

제인의 미모에 마음을 빼앗긴 레들로프 장군은 어느날 얄궂게도 안드레이를 대동하고 그녀앞에 나타나 청혼의 연서를 읽게 하고, 연서를 대신 읽어내려가던 안드레이는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신의 사랑을 고백한다.

질투심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공연장에 제인과 나란히 앉아 있던 레들로프 장군을 목격한 안드레이에게 그를 공격하도록 부추긴다. ‘엄청난’ 죄를 저지른 청년생도는 그 길로 투옥되고 만다.

20년의 세월이 흐른 뒤 시베리아를 다시 찾은 제인이 가정을 꾸린 톨스토이의 흔적을 발견하고 마차를 돌려 거대한 시베리아를 내달리고, 그런 그녀를 멀리서 바라보며 담배연기를 허공에 내뿜는 톨스토이의 모습을 담은 장면은 보는 이의 가슴을 시리게 할 만큼 오랜 여운을 남긴다.

순수한 청년과 영악한 여자의 전설같은 러브스토리가 웅장한 스케일로 떠받쳐진데다 사관생도들의 생활과 레들로프 장군의 주정 등 중간 중간 설정된 코믹한 상황과 적절하게 어울려 다양한 감정선을 자극한다는 게 이 영화의 최대 장점이다.

러시아의 거장 니키타 미할코프 감독이 5년간의 침묵끝에 내놓은 화제작으로 제작비만도 무려 580억원이나 투입됐고, 5천명이 넘는 엑스트라들이 동원돼 스펙터클한 화면을 장식하는 볼거리들이 풍성하다. 30일 개봉.

/이형복기자 mercury@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