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1월 착공예정인 경인운하 건설계획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다. 지역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물론 인천시 서구의회도 반대입장을 보이고 운하건설계획 백지화를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도 정부는 수도권의 물류를 해상으로 연결하는 중요한 인프라로서 운하건설이 불가피하다며 밀어 붙이고 있어 반대론자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인운하 건설사업의 공공부문에 참여한 한국수자원공사의 일부 이사들도 이 사업의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했던 것으로 밝혀져 논란과 파문이 일고 있다. 수자원공사가 경인운하사업 민자법인에 대한 출자안을 의결하기 위해 지난해 8월 개최한 이사회에서 2명의 이사가 사업타당성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밝혔졌다.
인천항이 서울의 관문으로서 그 역할이 중대함은 새삼 거론할 필요도 없다. 특히 수출입 의존도가 큰 우리 입장에서 인천항만시설과 항만배후 교통망의 수송능력은 국가경제의 사활이 걸린 중대한 문제다. 더군다나 인천항만 배후도로가 포화상태에 이른 상황에서 경인운하 건설구상은 기본계획이 기술적 기능적으로 잘 조화되어 환경친화적으로 차질없이 완성된다면 수출입화물 수송능력제고의 경제적 중요성은 클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이 대형사업은 학계와 환경단체의 지적처럼 생태계 파괴의 우려와 함께 한강하류의 남북 도시문화권의 단절 문제가 있으므로 기본계획을 조정 보완하는 데 더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우선 검토해야 할 중요요소는 경인운하가 가동될 경우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치밀하게 분석하고 다각적인 대책을 제시하는 일이다. 한강하류의 3급수 물과 굴포천의 오염된 물이 유입될 경우 운하의 물이 썩고 이 물의 서해바다 유입은 해양생태계를 파괴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아울러 환경단체가 가장 우려하는 한강하류지역의 폭 100m 운하로 인한 남북의 인위적인 단절과 검단지역의 고립문제 등을 해결 완화할 방안도 연구해야 한다. 관계당국은 이제 환경단체나 주민들이 제기하는 여러 문제점에 대해 귀 기울여 들을 필요가 있다. 전문적 검토가 끝났다며 일방적으로 강행할 것이 아니라 환경단체의 주장 내용들을 충분히 고려, 환경친화적 보완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경인운하같은 사회간접자본 투자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앞을 내다보는 안목이다. 착공날짜에 얽매어 졸속과 시행착오를 범하지 않도록 신중한 검토가 있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