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자치센터 (상)골머리 앓는 구청

인천시내 116개 동사무소의 사무를 조정해 주민등록·제증명·사회복지 등은 동에서, 기타 사무는 구청으로 이관해 동사무소의 여유공간을 주민의 문화·복지시설 등으로 운영하는 ‘주민자치센터’가 오는 9월 개관한다. 그러나 각 구마다 자치센터 개관을 앞두고 예상되는 청사부족난과 불합리한 동인력배치 및 교육장·강사부족난 등으로 걱정이 태산이다. 주민자치센터 개관에 따른 문제점을 상하에 걸쳐 긴급 진단한다. <편집자주>

◇(상)골머리 앓는 구청

동사무소가 ‘주민자치센터’로 전환되면서 인천시내에서 모두 300여 동직원이 구청으로 발령받게돼 구청기구가 확대되는 결과가 빚어지며, 일부 구는 비좁은 청사 사정으로 개인빌딩을 임대해야 하는 해프닝까지 발생되고 있다.

시에 따르면 오는 9월말까지 강화군을 제외한 8개 구 관내 116개동에서 동별로 2∼5명씩 모두 300여명의 동인력이 구청으로 전보된다.

구별로는 남구 90여명·부평구 69명·중구 20여명·동구 20여명·계양구 20여명 등이다.

이같은 구 본청의 대규모 증원은 근래들어 처음 있는 일로 동사무소 축소가 구 본청의 증원이라는 묘한 결과를 불러온 것이다.

여기에다 각 구는 증원과 더불어 의무적으로 1개과(주민자치과)를 한시적으로 증설한다.

‘업무이관에 따른 당연한 증원’이라는 논리로 기구확대를 합리화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동기능 전환’의 당초 목적중 하나인 ‘집중관리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낭비 배제’의 취지는 일순간에 사라졌다.

특히 시내 각 구는 늘어나는 구청 직원들이 앉을 사무실조차 제대로 없어 전전긍긍하고 있다.

남구의 경우 비좁은 청사 사정으로 인근 Y빌딩 3층 104평을 임대키로 하고 빌딩 소유주와 임대협의를 벌이고 있다.

또 그동안 추진이 지연돼왔던 직원주차장 부지에 설립키로한 종합민원청사를 9월중 조기착공해 내년 4월께 완공키로 했다.

내년 9월 완공예정으로 청사가 신축중이어서 임시 가건물을 사용중인 계양구도 사정은 마찬가지.

계양구는 ‘주민자치과’ 사무실을 마련하기 위해 지상 2층의 가건물에 빽빽히 입주해 있는 각 실·과 사무실들을 다시 쪼갤 방침이다.

중·동구도 청사가 비좁아 각 실과 마다 직원들이 업무공간 부족난을 겪고 있는데도 20여명의 직원 책상을 추가로 놓아야 할 형편이다.

이와 관련, 시·구 관계자는 “각 구의 기구도 단계별로 재조정해 축소할 것이며, 최근 청사를 신축한 연수·부평구 등 일부 구를 제외하고는 청사부족난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