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동네병원들이 의약분업이 전면 실시되는 1일부터 재폐업에 돌입키로 한데다 종합병원의 전공의들도 약사법 개정안에 반대하며 병원을 떠나고 있어 환자들의 큰 불편이 우려되고 있다.
31일 인천시와 시 의사협회 의권수호쟁취투쟁위원회(이하 의쟁투)에 따르면 지난달부터 이날까지 869개 동네병원이 참가한 가운데 실시된 재폐업 찬반투표에서 찬성표를 던진 619개(71%) 동네병원들이 1일부터 전면 재폐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인하대병원 전공의 280명 가운데 240여명, 가천의대 길병원 전공의 227명중 200여명 등 인천지역 7개 종합병원 612명 전공의 가운데 85%인 517명도 이에앞서 31일부터 전면 진료거부에 들어갔다.
시 의사협회 의쟁투와 전공의들은 이날부터 학연과 개인친분 등을 동원해 투표불참병원과 정상진료병원들을 상대로 폐업동참을 독려한다는 내부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이번 재폐업 사태가 확산될 우려까지 낳고 있다.
특히 의료계의 이번 재폐업은 병원과 약국들의 의약분업 준비부족과 맞물리면서 환자들의 불편도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인천지역 1천472개(치과 461개 포함) 병·의원 가운데 의약분업 실시를 위한 전자결재시스템을 구축한 병원은 전체의 43%인 639개에 불과한데다 처방의약품을 제대로 구비한 약국도 전체 864개의 절반수준인 441개에 그치고 있다.
이에따라 환자들은 정상진료 병원을 선별해야 하는 불편과 함께 처방전 처리가 가능한 약국까지 찾아 헤매는 이중고를 겪게될 전망이다.
또 소규모 동네약국 대부분이 인근 의료기관의 처방약품 리스트조차 확보치 못하고 있는데다 처방약품 구입비용 부담 등으로 처방전 대상약품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어 경상치료를 받으려는 환자들의 혼란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정상진료실시 병원과 처방전 처리가능 약국의 위치 등을 시홈페이지에 올려 환자들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한편 폐업동참 의원들을 상대로 정상진료를 독려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