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폐기물 처리시설 유치 시민단체 반발

최근 정부가 방사성 폐기물 지역을 유치키로 하고 지역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자 지난 95년 굴업도 핵폐기장 건설문제로 홍역을 치뤘던 인천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환경단체들은 인천시의 폐기물 유치에 대한 입장 표명을 공식 요청하는가 하면, 산업자원부 설명회 거부를 촉구하는등 민감하게 반응, 정부의 핵폐기장 건설사업계획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28일 인천환경운동연합을 비롯 인천경실련, 민주노총인천본부 등 10여개 인천지역 시민·환경·노동단체들은 성명을 내고 “최근 산업자원부와 한국전력은 방사성폐기물 유치공모안을 발표하고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지역개발과 주민소득 증대에 2천170억원을 지원한다는 미끼를 내걸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산자부와 한전이 지난달 11일 실시한 핵폐기장 설명회 배포 자료에는 예상 후보지 46개 임해지역 중 인천시의 옹진군과 강화군이 선정돼 있으며, 강화군과 옹진군에 대한 방문 설명회가 다음달 중순께 잡혀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 95년 2월27일 정부가 굴업도를 일방적으로 핵폐기장으로 지정 고시했다가 굴업도에서 활성단층이 발견, 고시가 백지화됐다”며 “핵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원자력 발전과 핵폐기물에 대한 정부의 안전성 주장을 더이상 믿지 않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이어 250만 인천시민의 자존심을 짓밟은 산자부와 한전의 공식 사과, 인천시의 핵폐기장 유치 공모에 대한 입장 표명, 지자체 설명회 거부 등을 촉구했다.

이같은 인천지역 시민·환경단체들의 반핵 성명은 일방적으로 핵폐기장을 선정했던 정부에 대한 불신과 인천으로의 재지정 우려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강화군과 옹진군이 핵폐기장 신청 의사가 없음을 밝혀왔다”고 밝혔다.

또 산자부 관계자는 “전국 임해지역이 모두 유치 대상에 포함된 것일 뿐 인천지역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