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가 본격적인 춘투가 시작된 지난 4월 경인지방노동청장직을 보름이상 공석으로 비워둔데 이어 신임 청장 취임 한달만에 또다시 개방직으로 전환할 방침이어서 전국 최대 노사분규지역인 경인지역의 노동행정에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4일 노동부에 따르면 경인지방노동청장직이 정부가 추진중인 공무원 개방직으로 지정됨에 따라 공개모집을 통해 조만간 개방인사를 배치할 방침이다.
이 경우 경인지방노동청장직은 지난 4월28일 이만호 전 청장의 전보발령 이후 보름이상 공석으로 방치된데 이어 전운기 현 청장이 취임한지 40여일만에 또 다시 주인이 바뀌게 된다.
그러나 경인지역의 경우 매년 전국 노사분규 총 발생건수의 절반을 차지하는 전국 최대의 분규지역인데다 본격적인 임금협상기간인 최근 2개월동안 2차례나 청장을 교체하는 노동부의 이같은 인사방침은 업무의 연속성을 차단하며 노동행정의 공백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을 사고 있다.
경인청 소속 직원들도 국가기간산업인 자동차 완성공장 4개사중 3개사를 관장해야 하는 주요직책인 경인청장직의 개방인사직 지정은 “직책의 특수성이 고려되지 않은 낙하산식 인사행정”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그동안 경인청장이 직접나서 노사협상 중재를 맡았던 일부 주요 분규 사업장 역시 “청장이 바뀌면 또 다시 처음부터 협상을 시작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관련, 노동계 관계자는“노사협상의 가교역할을 맡고 있는 경인청장의 잦은 교체는 원활한 노사협상에 악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개인성향에 따른 노동정책 변경으로 협상테이블의 혼란을 불러 올 수 있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