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체육교류 급진전 기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13일 분단 55년만에 첫남북정상회담을 위해 방북길에 오르면서 남북 체육교류가 급진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 여건 뿐만 아니라 남북 양측의 해빙 분위기도 최고조에 달했고 첫 남북 정상회담에서 부담없이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가 스포츠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국제무대에서 북측 인사들을 자주 접촉해온 김운용 대한체육회장 겸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집행위원장과 정몽준 대한축구협회장 겸 국제축구연맹(FIFA) 부회장이 대통령을 수행, 실무 합의를 이끌어 내는 역할을 맡는다는 점도 기대치를 높게 하고있다.

이번 회담에서 가장 합의 가능성이 높은 의제는 9월로 다가온 시드니올림픽 남북 동시 입장으로 실현될 경우 수 많은 남북 체육 교류의 물꼬가 트일 것으로 보인다.

올림픽 동시입장이 합의되면 전통의 경평축구와 90년 통일축구 경험이 있는 축구의 경우 올 10월 아시아컵축구선수권대회 및 2001년 세계청소년축구대회 단일팀 구성, 2002년 월드컵 분산개최와 단일팀 구성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올림픽과 월드컵이라는 국제적 행사에서 남북 교류가 이루어진다면 정상 회담이후 개별 종목간 협상도 이어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 12월 서울에서 열리는 코리아컵유도대회의 북한 참가, 2001년 오사카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단일팀, 농구 국가대표팀간 정기전, 씨름대회 등 물밑 교섭중인 수 많은 교류 방안들이 현실로 이뤄지는 것이다.

또 교류 과정에서 만나는 남북 체육 인사들과 관계자들이 다양한 행사와 이벤트를 만들 것으로 보여 남북 체육 교류는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체육계 관계자들은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남북의 체육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급변하는 남북 관계를 고려할 때 성급한 예상을 하기 보다는 최소한시드니올림픽 남북 동시 입장 한 가지라도 이뤄내야 한다”고 지적했다./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