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하철 2·3호선 전면 재검토 결정

건설교통부가 최근 인천지하철 미착공 구간인 2·3호선에 대해 공사 중단이나 다름없는 전면재검토를 결정, 시가 자재처리, 조직감축, 환승역 공간활용 등의 어려움을 겪게 됐다.

24일 건교부와 시에 따르면 인천시를 포함한 5대 도시의 지하철 건설 부채가 9조원을 넘어서고 있어 현재 착공중인 노선을 제외하고는 모든 노선에 대해 사업중단, 장기보류, 경량전철로의 기종변경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이는 사실상 인천지하철 2·3호선의 장기보류내지 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가 2·3호선 공사를 위해 보유하고 있던 400억원대(17만2천t)의 H빔 등 강재가 고철 처리될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인천과 동시에 지하철 공사를 하던 4대 도시 모두가 공사 중단내지 장기보류 결정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 수요급감에 따라 강재판로가 막히는 것은 물론 매각을 위해 턱없이 낮은 가격을 받을 수 밖에 없게 됐다.

또 인천지하철 2·3호선 건설을 준비해온 인천도시철도기획단(정원 86명)의 해체내지 조직축소도 현안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더욱이 2차 구조조정만료 시한인 7월말을 2개월 가량 앞두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같은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할 전망이다.

이와함께 시는 2·3호선 개통에 대비 환승역사로 1개 역당 400억여원을 추가로 투입, 2개 역을 조성했으나 공사중단으로 환승역이 자칫 무용지물로 전락할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2·3호선 추진의 어려움이 예상돼 현재 조직을 7개과에서 5개과로 축소하고 정원을 20명 이상 줄이는 방향으로 조직개편안을 짜고 있다”며 “ 강재 등 자재는 철도청 등에 관리전환을 통해 처리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영철기자 wyatt@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