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하락세로 돌아섰으나 안정세

올들어 3개월동안 오름세가 지속적된 경기·인천지역의 소비자물가가 4월들어 하락세로 돌아섰으나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같은 물가하락은 채소류의 출하증가 및 축산물 소비부진에 따라 농수축산물을 비롯, 석유류 등 공업제품의 가격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30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가 발표한 경기·인천지역의 ‘4월중 소비자물가 및 생활물가 동향’에 따르면 소비자자물가는 의료수가, 목욕료 등의 인상에 따른 공공서비스와 개인서비스 상승에도 불구, 농축수산물과 공업제품 등이 내려 전체적으로 전월보다 각각 0.3%, 0.2%가 하락했다.

또 체감물가를 반영하는 생활물가 역시 3개월째 보합 또는 오름세를 이어오던 것이 큰폭의 내림세를 보이면서 경기·인천지역 각각 0.7·0.5%나 떨어졌다.

이와 함께 지난 3월과 비교해 소비자물가 기본분류별 동향을 보면 경기지역의 경우 보건의료(3.0%) 곡류(0.4%) 주거비(0.3%) 빵 및 과자류(0.3%) 등은 오른 반면 채소·해초(7.1%) 광열·수도(2.7%) 육류(2.5%) 어개류(0.9%) 등 품목이 전반적으로 내림세를 보였다.

인천지역은 과실(7.0%) 보건의료(2.7%) 가구집기·가사(0.3%) 유지·조미료(0.1%)등은 다소 큰폭의 상승세를 보였으나 채소·해초(6.6%) 육류(1.9%) 광열·수도(1.7%) 차와 음료(0.7%) 등 대부분 품목이 보합 또는 하락했다.

한편 지역적으로는 성남이 0.7% 하락해 가장 많이 떨어졌으며 부천·고양이 0.4%, 수원이 0.3%, 의정부·안양은 0.2%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