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중기 수출전선 빨간불

경기도내 중소기업들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수입급증과 환율하락으로 무역수지가 지난해에 비해 무려 12배나 감소한 7천만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수출입정책에 비상이 걸렸다.

24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내 3월말 현재 무역수지는 7천만달러로 지난해 8억8천만달러에 비해 12.6배가 감소했다.

이에 따라 도와 경제단체들이 올해 전망한 도내 무역수지 8억달러 달성이 쉽지않을 전망이다.

도내 무역수지가 이같이 급락한 것은 올들어 수출이 급증하고 있음에도 수입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고 원가하락에 따른 수출입 차액이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제도 도내 수출은 지난해 같은기간 53억6천만달러에 비해 44.5%가 증가한 77억5천만달러를 기록했으나 수입은 지난해 3월 44억8천만달러에 비해 76억8천만달러로 무려 71.4%가 급증했다.

이같이 수출에 비해 수입폭이 큰 것은 유가상승에 따라 에너지 분야와 벤처기업 열풍으로 인한 전기·전자 부품, 경기회복으로 인한 소비재의 수입이 급증하고있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 환율도 올초 1달러당 1천130원대에서 현재는 1천108원대로 하락, 수출호조를 유도하고 있는 반면 수출대금의 하락에도 영향을 미쳐 무역수지 개선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도내 중소기업들은 대기업과 달리 원화하락으로 인해 수출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도 관계자는 분석하고 있다.

도의 한관계자는 “3월중의 무역수지가 4천만달러로 1·2월에 비해 다소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수입증가는 경기회복에 따른 기업들의 시설투자 확대에 기인하고 있는 만큼 수입이 안정되면 무역수지폭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정일형기자 ihju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