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양변기용 절수기 보급 등 각종 현안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업체를 배제시키는 사례가 속출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수원시와 지역경제인들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절수정책의 일환으로 양변기용 절수기 5만개를 부산 소재 업체인 녹색캠프로 부터 구입한데다 올들어서도 1억9천만원의 예산을 확보, 녹색캠프 및 서울업체인 녹색환경기술, 동강 등 모두 3개사로 부터 3만개를 구입해 각 가정에 보급하고 있다.
특히 녹색캠프사의 제품은 지난해 12월 언론보도에 따른 환경부 감사를 받아 불량품으로 판정돼 반품한 제품임에도 올해 또다시 구입한 것으로 알려져 관련업계로 부터 의혹을 사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집이 수원이다 보니 지난해 한차례 올해 두차례에 걸쳐 통장으로 부터 녹색캠프의 제품을 받았는데 고무덮개의 재질이 딱딱해 이격공간이 생기는 바람에 누수가 발생, 절수효과가 없다”고 지적하고 “지역에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가 있음에도 외지업체를 선호하는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에 역행하고 있는 처사”라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시는 지난해 8월 시 심벌마크를 제작하면서 시민들을 대상으로 공모전도 없이 형식적인 공청회만 거친채 9천여만원을 들여 서울 소재 한국산업디자인 진흥원에 용역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시가 당연히 공모를 할 것으로 알고 공모전에 대비, 준비한 업체나 시민들이 많았는데 시 행정에 배신감을 느꼈다”며 “시민들의 혈세가 역외로 유출되는 사례가 빈발하면 지역경제는 어떻게 되겠느냐”며 분개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제품의 질이나 시설 및 기술수준 등을 고려해 신중하게 선택했다”고 밝혔다./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