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을 앞두고 각 여론기관들이 각당 후보자에 대한 지지도를 조사, 발표하고 있으나 여론조사 주체마다 결과가 제각각이어서 유권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일부 선거구는 지지율 격차가 30%에 이르는 곳도 있어 여론조사가 부동표의 방향을 호도할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R사가 조사한 인천지역 총선 여론조사에서 중·동·옹진의 민주당 서정화 후보와 한나라당 서상섭 후보의 지지율은 각각 32.6%, 13.3%를 보였다.
그러나 T사의 조사결과는 두 후보의 지지율이 각각 28.2%, 32.0%로 선두 자리는 물론 지지율면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A사의 조사결과는 격차가 더욱 심각해 두 후보의 지지율이 32.8%와 8.9%로 나타나 어떤 여론조사가 실제와 가까운지 종잡을 수 없는 실정이다.
남구갑의 경우도 R사는 한나라당 민봉기 후보·민주당 유필우 후보·무소속 박우섭 후보 지지율을 각각 34.1·26.8·18.5%로 발표했으나 T사는 민 후보 19.4·박 후보 20.4%로 밝혀 3위와 1위가 자리 바꿈을 했다.
또 J사가 실시한 민 후보의 지지율은 38.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당락을 좌우할 비율인 20%의 격차를 보였다.
연수구의 한나라당 황우여 후보 지지율은 각 기관에 따라 27.4∼37.0%로 10%의 차이를 드러냈고 서·강화갑의 민주당 조한천 후보의 지지율도 17.0∼34.0%로 최하와 최고의 차이가 2배에 달했다.
이처럼 여론조사 결과가 큰 격차를 보이는 이유는 전화를 통해 이뤄지는 여론조사가 지나치게 자주 실시돼 유권자들이 염증을 느끼고 있을 뿐아니라 무응답층에 대한 유도질문 답변을 여론조사 기관들이 다소 자의적으로 처리하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때문에 여론조사가 유권자에게 후보자들의 지지율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이 아니라 혼란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 부동층을 호도할 부작용마저 우려된다.
/4·13총선특별취재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