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회복 이후 임금인상 추세

경기회복 이후 처음 맞는 임금협상을 앞두고 경인지역 사업장의 임금인상 추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7일 경인지방노동청에 따르면 이날 현재 경인지역 사업장의 임금인상률(임금총액기준)은 전국 6대 도시 가운데 가장 높은 7.5%를 기록하고 있다.

이같은 인상률은 각각 3.6%의 인상률을 보이고 있는 부산과 광주지역의 2배가 넘는 수치이며 0.9%가 삭감됐던 지난해 같은기간과도 뚜렷한 대조를 보이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수원지역이 15.3%로 가장 높은 임금 인상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성남과 안산이 각각 8.2%, 경인청(북부제외 인천지역) 6.3%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관리대상에서 제외된 100인 이하 영세사업장 대부분이 적게는 10%에서 많게는 30%까지의 임금인상(IMF기간 삭감분 포함)이 이뤄지거나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경인지역의 임금인상폭이 큰 것은 대우사태와 경기은행 퇴출 등으로 IMF 기간동안 타 지역보다 큰 고통을 겪었던 경인지역 근로자들의 보상심리가 임금협상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와관련, 경인지방노동청 관계자는 “IMF 여파로 지난 2년동안 삭감됐던 근로자들의 임금이 올해는 10% 안팎의 인상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그러나 삭감분에 대한 보상차원의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근로자와 이에 맞서는 회사측간 첨예한 대립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