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기업과 소상공인들만의 단체인 한국소기업소상공인연합회(소기련)가 세확산에 나서자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소기련간에 공방이 확산되고 있다.
중소기업계에 따르면 소기련은 지난달 11일 독자단체로 공식출범한데 이어 25일 5천여 소기업 대표가 모여 전진결의 전국대의원대회를 개최하고 소기업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한편 소기련이 영세소기업의 권익을 지키는 대변기관임을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일본 소기업단체인 일본전국상공단체연합회 히로시겐조우 회장, 요다 요시로 부회장, 우치다 타께시 사무국장 등이 참석해 공동구매, 정보교류, 업무협조 등 상호교류를 위한 의향서를 교환했다.
소기련은 이와함께 이미 1만여 회원사를 확보하고 전국 18개 광역자치단체에 지역협의회를, 233개 기초자치단체에 지부를 설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처럼 세확산 움직임이 가시화하자 종업원 50인 이하 소기업이 전체 회원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기협중앙회가 바짝 긴장하면서 저지에 나섰다.
기협중앙회는 “정부가 소기련을 또다른 경제단체로 인정하고 지원한다면 다양한 지원제도를 재정비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며 예산확보와 집행상의 혼란이 초래될 것”이라고 지적하고 “정부의 재벌개혁이 정착단계에 왔고 벤처기업을 포함한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의 모든 역량이 집중되고 있는 시점에 중소기업을 쪼개려는 세력에 정부는 강력히 대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에 대해 소기련은 “기협중앙회가 그동안 제구실을 못했기 때문에 소기업들만의 권익을 옹호하기 위해 발족했으며 공동시장 개척, 기술개발, 금융지원 등의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