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수자원정책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환

정부의 수(水)자원정책이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 중심으로 바뀐다.

환경부는 빠르면 2006년께부터 예상되는 물부족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수자원정책의 기조를 종래의 공급위주에서 수요관리 중심으로 바꾸는 것 등을 골자로 한 ‘물절약종합대책’을 마련했다고 6일 밝혔다.

환경부는 종합대책에서 우선 국가 차원의 물 절약 기본목표를 설정해 2006년까지 수돗물의 경우 연간 전체생산량(58억4천만t)의 13.5%인 7억9천만t을 절약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섬진강댐 2개를 건설해 물을 확보하는 것과 마찬가지의 양이다.

환경부는 또 2004년까지 724억원을 투입해 신축건물을 포함해 전체건물의 70%까지 절수기기를 설치하는 한편 수도요금 누진제를 적용해 일정량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도요금을 대폭 인상하고 일정규모 이하일 때는 대폭 할인해 주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하루 물사용량이 500∼2천t 규모인 물 다량 사용건물에 대해서는 사용한 물을 다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중수도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노후수도관을 대폭 교체하며 ▲서울 등 월드컵 개최 6개 도시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해 화장실 세정수 등으로 사용하게 하고 ▲상습 가뭄지역에 대해서는 식수원 개발과 함께 절수기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연합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