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근로자 소득격차 갈수록 심화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79년 통계청의 통계파악이후 21년만에 최악인것으로 나타났다.

이와함께 지난해 4·4분기중 도시근로자가구 소득은 9.1% 증가한데 비해 소비지출은 14.3% 늘어나는 등 씀씀이가 헤퍼지고 있으며 하위 20%의 경우 월평균 가계 적자액이 11만원에 이르렀다.

소득불평등 심화는 사회적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앞으로 경제회복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3일 통계청 경기통계사무소에 따르면 절대적인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가 지난해에 0.3204에 이르러 통계 파악이 시작된 79년 이후 가장 높았다.

지난해에 소득수준 상위 20%인 5분위 소득을 하위 20%인 1분위로 나눈 배율은 1·4분기 5.85에서 2·4분기 5.24로 낮아졌다가 3·4분기 5.29, 4·4분기 5.57로 다시 악화되고 있다.

지니계수는 1·4분기 0.333, 2·4분기 0.311, 3·4분기 0.310 등으로 내려간뒤 4·4분기에는 다시 0.327로 높아졌다.

이와함께 지난해 연간기준 5분위별 소득 점유율의 경우 소득이 가장 작은 1분위가 7.3%로 전년보다 0.1%포인트 낮아진데 비해 소득이 가장 많은 5분위는 39.8%에서 40.2%로 0.4%포인트 높아졌다.

또 2분위의 소득점유율은 12.8%에서 12.6%로, 3분위는 17.1%에서 16.9%로 각각 낮아지고 5분위는 22.9%로 변동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최상위 계층인 5분위만 점유율이 올랐다.

지난해 평균 지니계수는 0.3204로 97년의 0.2830, 98년 0.3157보다 높아져 지난 79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와함께 도시근로자가구의 4·4분기중 월평균 소득은 232만7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1% 증가했고 소비지출은 14.3% 늘어난 157만3천원으로 조사됐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