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의 베이징(北京)을 비롯한 상하이(上海), 선양(瀋陽), 엔지(延吉에) 등에서 한국인에 대한 납치 살해사건이 계속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지난 해 연말 선양에서 한국인이 피살되었는가 하면 최근에는 탈북 귀순자 조명철씨를 비롯한 유학생들이 납치되었으며, 무려 38일동안 납치되었다가 탈출한 사업가도 있다.
중국내에서 발생한 한국인 관련사고는 98년의 84건이 지난해에는 무려 182건으로 증가하였다. 심지어 대로변에 있는 식당에서 식사를 하던 여행객들이 총과 칼을 든 강도에게 금품과 여권을 강탈당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과연 안심하고 중국을 여행하고 또한 사업을 할 수 있을지 우려된다. 특히 이들 범죄가 주로 조선족들을 중심으로 한 범죄조직에 의하여 자행되고 있으며, 이들이 점차 국제화·흉포화되고 있으니 더욱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재중(在中) 한국인들로서 더욱 불안한 것은 현지에 공관이 있으면서도 중국 여행객이나 사업가들에 대한 보호업무가 소홀하다는 것이다. 38일 동안 납치되었다가 탈출한 사업가는 인근 영사관에 신고하였으나 관할지역을 이유로 책임을 떠넘기는 등 대책에 있어 상당히 문제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납치되어 탈출한 국민을 불안하지 않도록 최선의 조치를 취해야 되는 것이 현지 공관의 임무가 아닌가.
그동안 중국에서는 수많은 사건이 발생하였다. 특히 중국을 잘 모르는 여행객이나 사업가들은 조선족들의 범죄 대상이 되어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조그마한 사건은 신고도 되지 않아 피해건수는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지 공관은 이에 대한 대책을 적절하게 수행하지 못하여 더욱 피해가 컸다. 공관을 관장하고 있는 외교통상부도 마찬가지이고, 또한 경찰도 역시 대책에 소홀하였음은 비슷한 상황이다.
외교통상부, 경찰 등 관계당국은 중국내 한인에 대한 보호책에 최선을 다해야 된다. 수사경찰관을 중국에 파견, 중국과 협조체제를 구축해야 된다. 더이상의 피해가 없도록 외교통상부가 주도하여 중국과 협조체제를 강화함은 물론 중국여행을 하는 한국인들도 스스로의 방어에 최선을 다해야 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