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오는 2001년부터 상수도 요금을 현실화하기로 하고 내년까지 수도 요금을 5%인상할 방침이나 요금을 받지 못하는 무수율이 무려 14.6%에 달해 거리나 땅속으로 버려지는 수돗물 비율이 지나치게 많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
더욱이 시는 지난 94년 이후 노후관을 교체한다며 800여억원을 투자했음에도 불구, 무수율 개선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급수관리 사업이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 행정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생산원가에 못미치는 낮은 요금수준을 개선키 위해 단계적으로 요금을 현실화하기로 하고 지난해 생산원가의 76.3%에 달하던 수도요금을 올해 95%로 인상하고 내년에 100%로 조정키로 했다.
이에따라 시는 올해 가정요금 41.7%, 업무용 22.1%, 욕탕 1종 28.1%를 인상키로 하고 이에대한 요금체계를 고칠 계획이다.
그러나 시가 수도요금을 받지 못하는 무수율이 지난해 15.2%에 달할 뿐아니라 올 누수방지 목표도 14.6%에 불과해 엄청난 예산을 들여 만든 수돗물이 누수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인천지역 노후관 1천621km 가운데 504km를 교체한다는 방침아래 지난 94년부터 지난해까지 797억여원을 투자한 데 이어 올해 96억8천만원, 내년부터 2003년까지 288억5천만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같은 엄청난 예산의 투입에도 불구, 수도요금이 징수되는 유수율은 지난해 84.8%에 불과했으며 올해도 85.4%의 목표를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시가 매년 100억원에 달하는 노후관 교체사업을 하면서도 도수(盜水)되거나 누수되는 수돗물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