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의 화학자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시작된 노벨상이 내년이면 제정 100주년을 맞는다. 수상자 선정 등에 전혀 비난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위력이 막강한 노벨상 수상자를 한국은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다. 가까운 일본은 지금까지 과학분야 5명, 문학 2명 등 7명의 수상자를 냈으며 중국도 과학분야에서 4명이 수상했다.
김대중 대통령이 최근 2000년도 노벨평화상 수상 후보에 오른 것이 공식 발표되면서 한가닥 희망을 안겨주고 있으나 후보가 지미 카터 전 미국대통령 등 전세계 1백12명의 인사와 32개 단체나 된다고 한다.
김 대통령이 평화상 후보로 추천된 것은 이번이 14번째인데 평화상의 경우 많은 정치적 고려와 다른 변수가 작용하기 때문에 수상자 선정은 매우 신중하다.
한국인으로 노벨상 수상에 근접한 사람으로는 김대통령을 비롯,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의 피터 김(한국명 김성배)교수, 이화여대 석좌교수 겸 미 국립보건원 선임연구원 이서구박사, 버클리대 김성호 교수, 워싱턴대 테니스 최(한국명 최원규)박사, ‘옥수수박사’로 북한의 식량증산에 적극 참여하고 있는 경북대 김순권 교수 등이다.
노벨경제학상과 문학상은 현재의 학계풍토나 번역 관련 여건상 수상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학계나 문단에서 스스로 진단하고 있다.
앞으로 한국인이 노벨상을 타려면 교육체계의 대대적인 혁신과 학자 및 작가 개개인의 끊임없는 노력, 그리고 국가차원의 지원과 투자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지만, 우선은 국력이 부강해야 할 것 같다.
그런데 김대중 대통령이 만일 2000년도 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된다면 반 DJ측 사람들, 특히 정치를 한다는 인사들의 반응은 어떠할까. 아닌게 아니라 그것이 알고 싶다.
/청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