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만 있고 방향은 없는 입시제도

교육부가 2002학년부터 무시험 대학입학제도를 발표한지 일년이 지나도록 원칙만 제시한채 구체적인 세부기준을 발표하지 않아 일선 고교와 학생들이 큰 혼란을 겪고있다.

특히 교육부장관이 2차례 바뀌면서 기초자료로만 활용키로 했던 수학능력시험 반영비율을 일부대학들이 중요한 전형요소로 활용키로 방침을 정해 2002년 무시험입시를 준비해 온 고교 1년생과 학부모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21일 경기도내 고교와 학부모들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98년 10월 200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을 발표하면서 기존의 입시와 달리 개인의 특기와 소질이 존중되는 무시험 입학제도를 밝혔다.

이에따라 현재의 교장추천제를 32개분야 추천제로 확대하고 수능시험도 기초학력자료로만 활용하는 등 다양한 전형 방침을 밝히고, 2002년 입시 적용을 받는 99년 고교 입학생부터 자율학습과 보충수업을 전면 폐지하는 한편 학교내 특기·적성교육을 강화토록 했다.

그러나 2002년 입시제도가 발표된지 1년이 지나도록 교육부는 추천제입학이나 특별전형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점수 반영을 제시하지 않았으며 대학들도 변경된 입시제도에 대한 방침을 밝히지 않아 학교와 학생들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교육부는 최근 기초학습자료로만 활용하고 전형자료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던 대학수학능력시험에 대한 당초의 방침을 수정, 대학이 자율적으로 반영하도록 했다.

이같은 변경은 무시험입학제도를 통한 학교정상화를 추진했던 교육부의 입시 방향이 크게 수정된 것으로 특별전형만 확대됐을 뿐 정시모집은 기존 입시제도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서울대학교가 이날 최초로 밝힌 2002년 입시제도 방침에도 수능시험과 관련 1단계에서는 총점을 최저지원자격 기준으로 삼고, 2단계에서는 모집단위별 특성에 따른 영역점수를 반영하겠다고 밝혀 수능성적이 지금보다 오히려 더 중요한 입시전형자료가 될 전망이다.

수원 K고 김모교감(56)도 “대학이 2002년 입시에 대한 구체적인 방침을 밝히지 않으면서 학생이나 교사 모두 혼란스러워 입시에 대처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라며 “당초 발표와 달리 또다시 수능반영을 대학에 맡기는 교육부의 방침으로 학교도 기존의 입시준비로 되돌아갈 수 밖에 없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민용·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