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장 슬러지 서해투기 황폐화 우려

경기도가 내년부터 매립지 반입이 금지된 하수종말처리장 슬러지를 서해에 투기키로 해 중금속 등 각종 오염물질로 인한 해안 황폐화가 우려되고 있다.

18일 경기도와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경기도내 45개소 하수종말처리장 및 환경사업소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연간 30만397t(98년 기준)으로 이중 1만6천여t만 재활용하고 나머지 94.5%인 28만4천여t은 매립해 왔다.

그러나 내년부터 유기성 휘발물질, 각종 오염물질이 포함된 하수슬러지의 직매립을 중단하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이 발효됨에 따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은 하수슬러지 처리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따라 도는 오는 6월까지 구리, 광주, 안산, 성남, 양평에 소각장을 건립해 내년부터 하수슬러지 12만3천t을 소각처리키로 했다. 또 소각처리하지 못하는 17만7천t중 1만8천t은 재활용, 3만9천t은 기타 처리하고 나머지 12만t은 서해안에 투기하는 슬러지처리대책을 마련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서해안 갯펄살리기에 정부도 나서고 있는 판에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황화합물 (SS), 총질소(T-N), 총인(T-P) 등만 분석할뿐 중금속 등 각종 오염물질은 전혀 분석하지 않고 있는 하수슬러지의 해양투기는 서해안을 황폐화시키는 환경파괴행위라며 국제환경문제로 비화될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김충관 환경운동센터 사무국장은 “서해안 갯펄 살리기 운동이 전개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하수슬러지를 서해에 투기하는 것은 반환경정책”이라고 지적했다.

이와관련 경기도 관계자는 “하수슬러지 매립이 전면 중단되면서 소각장이 부족한 경기도로서는 어쩔 수 없이 바다에 투기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창우기자 cw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