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판 돌아가는 것을 보면 싹이 노랗다.
세상이 꽤 변한 것처럼 보이지만 달라진 것은 하나도 없다. 각당이 4월 총선에 내보낼 후보 공천작업을 일부 끝냈을뿐 후보등록일이 38일이나 남았는데 벌써부터 총선 후유증을 걱정해야 할 만큼 불법·타락 사전 선거운동이 극성을 부리고 있다.
경기도 선거관리위원회가 적발한 16대 총선 불법 사전 선거운동이 17일 현재 124건으로 지난 15대 때의 같은 시점에 비해 44.2%나 증가했다는 사실은 선거판의 혼탁도가 오히려 더 심해졌음을 말해 주고 있다. 앞으로 법정선거전이 본격적으로 벌어지고 종반전으로 치달을수록 분위기가 과열되게 마련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일대 적신호가 아닐 수
없다.
특히 과거의 총선 때와 달리 이번에는 금품살포나 음식접대 선심관광같은 수법 이외에도 PC통신 등 사이버공간을 이용한 편법적 신종 불법 선거운동이 기승을 부려 선거분위기를 더욱 오염시키고 있다. 여기에 낙선운동에 나선 총선시민연대가 개정된 선거법이 운동방법을 지나치게 제한했다며 법을 무조건 따르지 않겠다고 밝히고 있어 선거판이 어떻게 굴러갈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선관위와 검·경 등 관련 당국은 돈으로 유권자를 매수하려는 따위의 구태의연한 범법행위에서부터 상대방 후보예상자에 대한 흑색선전과 비방으로 반사이익을 얻으려는 비열한 행위에 이르기까지 각종 불법 사전 선거운동에 대한 단속을 더욱 강화함으로써 혼탁예방에 힘써야 할 것이다.
우리는 특히 불법 부정행위의 당사자인 여야 정당과 출마예정자들에게 자숙을 당부하고 싶다. 이제는 과거처럼 부정한 방법으로 표를 얻는 것이 쉽지 않으며, 그렇게 해서 설혹 당선이 된다고 해도 깨어 있는 유권자와 시민단체의 감시 고발로 처벌받고, 국회의원직도 상실하게 될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여야 지도부가 지금처럼 무조건 승리를 외치고 국회의원이 되려는 사람들이 사생결단 앞다투어 불법행위를 저질러 이번 선거가 부정과 혼탁으로 얼룩질때는 정치권 전체가 국민의 불신을 받는 가운데 엄청난 후유증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명념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