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중 단행될 예정인 경기도 제2청사 정원증원에 따른 대규모 인사를 앞두고 경기도와 행정자치부간 자리차지에 기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도청 사무관급 이상 공무원들은 행자부의 낙하산 인사로 인해 승진 등에 차질을 빚게 되고 현재 적체현상을 보이고 있는 경기도 인사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도는 현재 공석이 된 도청 경제투자관리실장, 보건복지국장, 농정국장과 과천부시장, 여주부군수, 연천부군수를 비롯해 제2청사 부이사관급 2명, 서기관급 7명 등 고위급 인사를 금주중 단행할 계획이다.
그러나 행정자치부와 도간의 인사교류 폭을 놓고 이견차를 보이면서 현재까지 확정짓지 못하고 있고 이에 따른 ‘도 정원 및 기구’에 대한 행자부 승인도 아직 결재가 나지 않아 인사가 당초 계획보다 늦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사무관급 승진인사 40여명, 6급 승진인사 40여명 등에 대한 하위직 인사도 연기돼 자칫 오는 24일 개청이후 인사가 이뤄질 수 있어 제2청이 출범부터 행정공백현상을 빚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도 제2청사 조직과 인력인 1실 1국 7과 85명을 증원하는 것을 승인해 준 행자부는 도와의 인사교류에 대한 직원들의 신청을 받은 결과 20여명이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고 이중 부이사관급과 서기관, 사무관급 등 다수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도는 행자부의 요청대로 수용할 경우 연쇄 승진효과를 기대하고 있던 도청내 공무원들의 강렬한 반발이 예상돼 절충안을 찾고 있지만 양쪽의 입장차가 커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같은 소식이 알려지자 도청내 공무원들은 “현재 증원된 인원으로도 제2청의 업무를 이끌기 위해 부족한 상태”라며 “타 자치단체의 눈치살피기로 인해 적은 인원을 내려보내 놓고 높은 자리마저 차지하려는 것은 중앙정부의 횡포”라며 반발하고 있다.
또 “제2청 개청으로 한 자리에서 4∼5년동안 일해온 인사적체 현상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데 행자부에서 사무관이상 공무원이 내려올 경우 인사적체는 더욱 심각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