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천후보 윤곽 가시화 후유증 예고

오는 4·13 총선을 앞두고 각 당의 후보 공천 윤곽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공천경합에서 다소 열세인 도내 예비 후보들이 벌써부터 공천 과정에 대한 이의를 제기하고 나서 심각한 공천 후유증이 예고된다.

특히 현역 의원 대부분이 공천권에 접근하고 있는데다 각 당이 총선 전략으로 ‘386세대’를 포함한 신진 인사 전면 포진을 선언, 원외위원장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다.

10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민주당이 도내 30곳 이상을 단수 또는 2배수로 압축했으며 한나라당도 25곳의 후보를 사실상 확정하는 등 각당의 공천작업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공천 신청자 중 상당수가 이같은 공천 내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현역 민주당의 C의원은 “공천신청 마감 오래전부터 다른 사람이 거명되고 있다”며 “만약 공천에서 탈락한다면 지역 여론을 무시한 밀실야합으로 절대 승복할 수 없다”고 말해 무소속 출마 의지를 내비쳤다.

원외인 L위원장은 “현 공동정부가 집권하면서 처음 실시된 보궐선거에서 연합공천 몫으로 자민련에 (후보자리를)양보한 바 있다”며 “이번에도 공천를 주지 않는다면 정치생명을 끊는 일”이라고 말했다.

구속 수감중인 박종진 광주군수는 ‘이모씨가 공천탈락할 경우’를 전제로 옥중출마를 선언, 공천과정에 강한 이의제기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구당 직무대행을 맡았던 K씨도 “지역 실정을 외면, 지구당 당원들을 무시하는 처사”라고 말했다.

한나라당도 공천에 이의를 제기하는 인사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지난 9일 정진섭 안양 동안을지구당위원장은 후보 공천을 위한 경선 실시를 갑지구당과 중앙당에 요청하고 “경선에서 탈락하면 수용(불출마)하겠지만 경선없이 탈락한다면 무소속으로 출마하겠다”고 말했다.

고양 지역에 공천을 신청한 N 도의원은 “지난 3일자로 홍성우 공천심사위원장에게 면담을 신청했다”며 “일반 회사도 사원을 뽑을때 면접을 실시하는데 공당에서 서류만으로 심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