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 생태계 보호정책 대폭 강화

강화도를 비롯, 인천연안 습지와 조수 보호지역 등에 대한 관리가 대폭 강화된다.또 공유수면 매립계획이 세워진 10여개 지구에 대한 개발계획도 전면 재검토되는 등 연안 생태계 보호정책이 정부 차원에서 추진될 전망이다.

10일 인천시와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인천을 비롯한 서해연안을 생태적·문화적·경제적 가치가 조화롭게 공존될 수 있도록 종합 관리키 위해 연안통합관리 기본구상을 수립, 올 하반기 중 확정키로 했다.

시와 해수부가 공동 수립하고 있는 이번 연안통합관리 기본구상은 서해중부 권역을 보호지역 지정을 통한 연안생태계 집중관리, 해역별 특성에 맞는 연안오염부하 적정관리, 환경용량을 고려한 연안개발 계획 조정, 친수연안공간 조성 및 연안접근권 개선, 연안관리지역계획 수립촉진 및 지원 등 5개 분야로 나눠 관리한다.

이에따라 연안생태계 집중관리 구역에 들어가는 강화도 남단갯벌(강화군 길상면·화도면)을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강화도 남단갯벌과 신도·김포시 월곶면 북단, 시화호, 대부도, 남양만, 아산호 등을 조수보호구로 지정할 계획이다.

또 공유수면매립 기본계획이 수립돼 있는 강화군 내가·길상·내리·초지2·강화지구와 선재1∼3·영흥·신도·대부지구, 연수구 송도지구, 중구 영종3·북성지구, 동구 만석지구 등 18개 지구에 대한 개발계획을 재검토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강화도 남단갯벌이 있는 장화리를 생태마을로 개발하고 철새 조망대와 갯벌 교육장을 조성하는등 연안주변을 자연 친화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같은 연안통합관리 정책방향에 따라 기존 공유수면 매립계획이 대폭 수정 또는 백지화되고 현재 시가 추진하고 있는 용유·무의 관광단지 조성 및 송도 신도시 매립사업도 최소한의 범위에서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이번 연안통합관리 배경은 육지중심의 연안개발에서 해양중심의 연안관리로 전환되는 데 핵심이 있다” 며 “시 주요 연안개발 관련 시책도 조정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