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선거법의 국회통과로 선거구가 26개 감축되고 1인1표제가 유지됨으로써 선거구도와 환경이 크게 변한 데 따라16대 총선전략을 새로 다듬기로 했다.
특히 1인1표제 유지로 공동여당간 연합공천이 사실상 무산돼 선거구도가 ‘2여1야’에서 ‘3각구도’로 전환됨에 따라 민주당은 전국구 의석확보를 위해 자민련 텃밭인 충청권에도 이인제 선거대책위원장을 비롯해 경쟁력있는 후보들을 적극 출마시키기로 했다.
이와 관련, 민주당 정동영 대변인은 9일 당6역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에서 자민련이 1인2표제에 반대한데 대해 “공동여당인 자민련이 돌연 태도를 바꾼 것은 납득할 수 없다는 강력한 유감표시가 있었다”며 “자민련의 1인2표제 거부는 연합공천이 필요없다는 의사표시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의 한 고위 관계자는 “현시점에선 연합공천이 불가능하더라도 자민련과 최소한의 공조관계를 유지해나감으로써 후보자간 경쟁력의 우열이 확연히 드러나는 선거 막판 후보조정을 통한 ‘선거공조’ 가능성을 열어둘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이에 대해 자민련은 2여공조가 사실상 끝난 것으로 보고, 연합공천에 연연하지 않고 대 민주당 공세를 강화하는 등 차별화 전략을 지속함으로써 보수세력 결집을 통해 총선구도를 보수와 진보세력의 양자 대결구도로 몰아갈 방침이다.
이한동 총재권한대행은 당무회의에서 2여 공조 문제와 관련, “우리당의 입장은 ‘공조든, 연합공천이든, 공동정부든 모든 미련을 던져 버리자’고 선언한 지난달 27일 규탄대회의 기조에서 하나도 변한게 없다”고 거듭 확인했다.
그러나 텃밭인 대전·충남권에 대한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공세가 거세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현역의원 지역이라도 지지도가 불안한 지역에 대해선 경쟁력 있는 신진인사의 영입 등을 통해 과감한 물갈이를 시도할 계획이다.
한나라당도 2여 연합공천의 사실상 무산으로 여권표의 분산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총선 최대 승부처인 서울을 비롯, 수도권 선거전망이 밝아졌다고 보고 3각 선거구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한나라당은 우선 지역색이 엷고 세대교체 바람이 큰 수도권 지역에선 386세대를 비롯한 신진인사들을 과감하게 전면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2여 막판공조 가능성을 봉쇄하기 위해 민주당과 자민련간 틈새벌리기에 주력할 방침이다.
여야 3당은 이와 함께 지역구 의석의 대폭 감축에 따라 공천 후유증이 클 경우 각각 기반지역의 수성전략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중진인사 등의 불출마 권유와 전국구 후보배려 등을 통해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에 부심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