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가 송도 미디어밸리에 대한 출자 규모를 총 자본금의 25%로 결정하고 ㈜미디어밸리를 시의회 행정사무 감사 대상 기관에 포함시킴에 따라 ㈜미디어밸리측이 이의 수용여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특히 시의 출자 방식도 주식 액면가(5천원)에 의한 출자가 아니라 자산가치(추정액 3천400원)에 따라 출자키로 해 ㈜미디어밸리의 사업 추진여부가 불투명해지고 있다.
9일 ㈜미디어밸리는 시의회가 지난 1월 31일 의결한 ‘인천시 주식회사 미디어밸리 출자 및 지원에 관한 조례’의 수용 여부를 놓고 경영진과 주주들이 신중한 검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 출자 비율이 25%로 결정, 시의회의 행정사무 감사를 받아야 함에 따라 상당수 주주들이 민간기업으로서의 자율성 침해와 공공기관의 간섭 등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출자 방식도 액면가가 아닌 자산가치에 근거한 출자여서 당초 42억원 규모로 예상했던 출자액이 30억원을 넘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따라 ㈜미디어밸리측은 시가 참여하는 제3섹터 방식을 유지할 것인지, 아니면 독자적인 순수 민간법인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인지를 고심하고 있다.
더욱이 지난해 말까지 입주의향서를 낸 52개 해외기업 가운데 아직 단 한개 업체도 실질적인 양해각서를 체결하지 않은 상태이며 지난해 10월까지 산업단지로 지정하겠다던 약속도 지켜지지 않고 있어 대외적인 공신력이 크게 실추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아니라 시가 제공하게 될 57만평의 미디어밸리 부지 공급가격 협의조차 제대로 진척되지 않고 있어 정상적인 사업 추진 여부가 불확실한 상태이다.
이때문에 지난 97년 6월부터 추진된 송도 미디어밸리 사업이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