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초 개항 예정인 인천국제공항의 수조원대 금융시장을 놓고 은행업계가 치열한 입점경쟁을 벌이고 있다.
1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오는 24일까지 입점희망 은행들의 사업제안서를 제출받아 여신지원규모 등을 심사한 뒤 4월10일 4개의 입점 은행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인천국제공항의 금융시장 규모는 1조7천억원 이상의 환전수요와 4천억여원의 평균잔액 등 연간 2조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현재 한미·외환·한빛·조흥·국민·신한은행 등 6개 은행이 입찰 참여의사를 밝히고 있다.
특히 각 은행들은 국제공항 입점시 연평균 100억원 이상의 수익을 올릴 수 있는데다 국제적 관문인 인천공항 입점에 따른 수백억원의 이미지 제고 효과 등을 감안해 사활을 건 입점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미은행은 먼저 향토은행이라는 점과 BIS기준 최상위권을 차지하는 우량은행이라는 부분을 강조하고 공항지점에서 얻어지는 수익금 일부를 지역 봉사활동기금으로 환원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현재 김포국제공항 입점은행인 신한·조흥·외환은행 등은 국제공항 건설에 1천억원씩의 여신을 지원한 점과 김포국제공항 입점은행 이라는 기득권을 주장하고 있다.
한빛·국민은행도 국제공항 건설에 1천억원씩의 여신을 지원했다는 부분과 자본금이 가장 많은 국내 최대은행, 우량은행이라는 점을 내세우며 입점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관련, 인천국제공항공사 임병기 과장은 “국제공항에 대한 향후 여신 지원가능규모와 시설임차사용료 등 공사 운영에 보탬이 될 수 있는 기준을 중점으로 입점은행을 선정할 예정” 이라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