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선거구 기형적 형태유지

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전국 선거구를 조정, 인천의 계양·강화 갑을 선거구에서 계양을 독립시키고 강화를 서구와 합쳐 서구·계양 갑을 선거구로 분리하는 방안을 확정하고 이를 오는 31일 국회 본회의에서 처리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같은 선거구 조정은 기존의 계양·강화을 선거구가 갖고 있던 지역적 괴리문제를 여전히 극복하지 못해 지역적 대표성을 갖지 못하는 모순이 답습될 우려를 낳고 있다.

지난 95년 3월 강화군의 인천편입으로 15대 총선 때부터 계양·강화 갑을 선거구가 만들어졌으나 거리상 10여㎞나 떨어진 강화군을 계양1동과 묶어 하나의 선거구로 묶음으로써 전국 어느 곳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기형적 형태를 갖게 됐다.

이에따라 지난 96년 총선에서 1만5천여명의 계양1동 주민들은 불합리한 선거구 조정에 반발, 선거를 집단 거부하기도 했다.

당시 주민들은 “지역 대표를 뽑는게 아니라 국회의원 숫자를 맞추기 위한 선거”라며 선거구 조정의 부당성을 주장, 실제 이 지역 투표율이 전국 평균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36.1%에 불과했다.

그러나 지난 27일 국회 선거구획정위는 이같은 불합리를 개선한다며 계양구를 하나의 선거구로 독립시키는 대신 강화군을 서구 검단동과 합치는 조정방안을 확정, 이번에는 서구·강화을 선거구가 기형적 형태를 갖게 됐다.

서구 검단동도 지난 95년 3월 김포에서 인천으로 편입된 곳으로 지리적으로 강화군과 10여㎞ 떨어져 있다.

이에따라 서구 검단동과 강화군 주민들은 국회 선거구 조정에 지역정서가 분리되는 불이익을 받고 있다는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강화군은 지역적 독립성이 강할 뿐아니라 현재 자연사박물관을 비롯, 태권도 성전 유치, 강화 남단 갯벌 보전, 고인돌 유네스코 등록추진 등 굵직한 지역단위 사업을 벌이고 있어 인구 9만명 하한선으로 조정된 이번 선거구 조정안에 인구 6만7천명의 강화군을 예외 조항으로 삽입, 독립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