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 개항 앞두고 항공체계 교통정리

2001년 인천 신공항 개항을 앞두고 한반도 상공의 복잡한 항공체계가 교통정리된다.

건설교통부, 국방부, 주한미군 등이 참여하는 공역위원회가 26일 건교부 청사에서 첫 회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서 인천 신공항이 아시아 중심공항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민항기의 효율적 운항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공역위원회는 현재 공역체계가 접근관제구역(14개), 관제권(23개), 항로(16개), 특수공역(114개) 등으로 복잡하게 설정돼 항공기 상호간 근접비행 상황과 공중충돌의 가능성을 안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우선 공항 이착륙 비행경로상에 있는 군작전 구역을 조정, 민항기 운항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항로주변의 군작전 구역을 필요시 민간항공기 체공이 가능토록 탄력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또 군작전구역도 실제로 사용하는 시간에만 통제하는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접근관제구역을 건교부, 국방부, 주한미군 등이 각각 분할 운영함으로써 계기비용, 이착륙 수립 및 운영 등에 협조가 잘 안되는 문제 등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공역이란 항공기의 안전운항을 위해 필요한 공간으로 우리나라는 한국전쟁중 주한미군이 관리하다 58년 한국공군이 주한미공군으로부터 관제업무를 인수했고 그 뒤 95년 건교부가 대구 비행정보구역(FIR)내 관제구역 운영권을 인수하는 과정을 거쳤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