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선거구획정위가 4·13 총선의 지역구인구 상·하한선 기준을 9만∼35만명으로 결정함에 따라 해당 의원들의 명암이 크게 엇갈렸다.
통·폐합 대상이나 분구가 이뤄지지 않은 의원들은 선거구 획정위와 소속 당사를 찾아가 거칠게 항의한 반면, 통·폐합이 유보된 의원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시기도 했다.
인천 계양·강화을의 한나라당 이경재 의원은 민주당에서 계양을 독립선거구로 하고 강화를 중·동·옹진과 합치는 방안을 강구중인 것으로 알려지자 획정위 회의장으로 달려와 획정위원 및 기자들을 상대로 부당성을 지적하느라 열을 올렸다.
또 새천년 민주당의 홍문종 의원은 의정부가 분구될 경우 갑·을 선거구를 어떻게 나누는 것이 좋은지 지도와 함께 3개안을 제시했으나 인구 상한선을 넘지 못해(34만4천80명) 아예 고려대상이 되지 못했다.
선거구가 합쳐지는 이석현 의원(안양 동안을)은 “안양 동안 갑·을은 15대때 나눠진 것으로 원래 내 지역구로 이미 조직책을 받아 창당대회까지 치뤘다”며 담담해 하면서도 중앙당사를 방문한데 이어 보좌진들과 함께 향후 대책을 모색했다.
최희준 의원(안양 동안갑)은 “의원수를 줄이는데 공감한다”면서도 “일단 당의 입장정리를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정진섭 안양 동안을 지구당위원장과 ‘예선전’을 벌여야 하는 한나라당 심재철 부대변인은 “하루 아침에 날벼락을 맞았다”면서도 각종 근거자료를 열거하며 “저쪽(동안 을)이 동안 갑으로 흡수되는 것이 우리당이 승리하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인구 상한선 35만명 보다 2천여명이 많아 선거구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 평택 갑·을의 민주당 원유철, 허남훈 의원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기도 했다.
한편, 분구가 이뤄지는 하남·광주의 경우 정영훈 의원이 자신이 희망하는 하남 지역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조직책을 신청한 전국구 송현섭 의원과 문학진 전 국민회의 하남·광주지구당 위원장간의 대결이 여전히 남아 있다.
이와함께 광명은 각당의 주자가 뚜렷해 쉽게 ‘교통정리’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나 나머지 고양 일산, 덕양, 성남 분당은 여전히 예비주자들간의 ‘혼전’이 이어지고 있다.
/이민봉·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