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교통이 혼잡한 지역의 경우 자가용 등의 통행이 제한되는 ‘교통혼잡관리지구’가 추진되고 체증이 극심한 일부 간산도로에 ‘버스·택시 전용도로’가 지정돼 운영된다.
경기도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교통수요관리 종합대책’을 마련, 일선 시·군에 시달하는 한편 내달초까지 올해 교통정책 100대 과제를 선정, 추진한다.
교통수요관리 종합대책에 따르면 교통혼잡이 극심한 지역을 교통혼잡 관리지구로 지정, 자가용 승용차 등 일반 차량의 진입을일정 시간 제한한다.
또 교통혼잡 관리지구내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물 소유자는 교통수요관리 프로그램을 마련, 시행해야 하며, 시장·군수는 관리지구의 교통혼잡 해소를 위해 교통영향평가를 실시하고 도로구조를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도는 현재 9개 도시 13개 구간 67.4㎞인 버스전용차로를 확대해 자가용의 이용을 억제하고 하나의 교통카드로 수도권의 버스와 전철을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올 상반기중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64%인 시내버스 카드판독기 설치율을 100%로 끌어올리고 경기도의 교통카드를 서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서울시와 협의중이다.
시내버스의 주요 정류장에는 버스도착 예정시간과 주요 정차 지점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안내시스템을 설치하고 버스정류장을 전철역과 가까이 설치해 환승이 편리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체증이 심한 일부 간선도로를 버스·택시전용도로로 지정, 운영하되 자가용은 시간제 진입을 허용하고 1개 시·군 1개 차 없는 거리를 조성한다.
이밖에 교통혼잡을 가중시키는 노상주차장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불법 주·정차단속을 강화하는 주차유발 억제정책도 시행키로 했다.
한편 도는 교통관리대책의 효율적인 시행을 위해 시·군별 추진상황을 정기적으로 평가, 재정을 차등지원할 방침이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