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선거구 증가 최대승부처 부상

오는 4·13 총선에서 경기도내 선거구가 8개가 늘어나고 인천도 1개 선거구가 증가한다.

이에따라 경기도는 기존의 38개 선거구에서 46개로, 인천은 11개에서 12개로 늘어나 경기·인천지역이 58개로 증가돼 이번 총선에서 ‘최대 승부처’로 부상하게 됐다.

여야 3당 총무들은 지난 13일 저녁 현행 소선거구제를 바탕으로 전국단위의 1인2표 정당명부식 비례대표 도입 등 총무선의 협상을 사실상 마무리짓고 여야 지도부의 결심만을 남겨놓는 등 끝내기 수순에 돌입했다.

여야는 먼저 10%정도 감축키로 했던 의원정수를 현행대로 299명을 유지키로 하고 선거구별 인구 상·하한선도 하한 7만5천명, 상한 30만명으로의 ‘현행 유지’쪽으로 여야가 의견일치를 본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현행 지역구 253명, 비례대표 46명에서 지역구가 1명 줄어들고 대신 비례대표가 1명 늘어나 지역구 252명, 비례대표 47명으로 바뀌었다.

경기의 경우 지난해 11월 말 현재 인구 30만명이 넘어선 수원 권선과 팔달, 성남 분당, 고양 덕양과 일산, 용인, 의정부, 남양주 등 8곳의 선거구가, 인천은 33만7천221명인 서구의 분구가 예상된다.

그러나 각각의 인구가 12만이 넘어선 하남·광주 등 복합선거구는 분구하지 않고 기존대로 선거를 치르기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총무들의 사실상 합의에도 불구, 여전히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1인2투표제 도입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날 한나라당은 국회 총재실에서 총재단 및 상임고문단 연석회의를 열고 “1인2표제는 군소정당을 난립하게 해 결과적으로 야권분열을 가져오게 된다”며 재협상할 것을 주문했으며 15일로 끝나는 제209회 임시국회 회기 연장을 여당에 요청했다.

반면 여권은 15일 열리는 본회의에서의 표결처리 방침을 야당에 통보했다.

/이재규기자 jk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