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총기사용 까치포획놓고 지자체와 마찰

“까치를 포획하겠다” “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이 우려돼 안된다”

한국전력 경기지사와 경기도내 일선 자치단체가 까치포획 문제를 놓고 팽팽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한국전력 경기지사는 최근 도내 14개 시·군·구에 공문을 보내“까치로 인한 정전사고가 매년 급증하고 있다”며“총기를 사용, 까치 등 유해조수를 포획할수 있도록 해달라”며 유해조수 포획허가신청서를 제출했다.

13일 한전에 따르면 지난 한해동안 발생한 2천300건의 정전사고 가운데 489건이 까치로 인해 빚어졌다는 것. 이는 지난 98년 366건에 비해 33.6% 늘어난 수치다.

이 때문에 인력은 물론 예산낭비마저 초래하고 있다.

한전측은 그동안 나프탈렌, 빙초산, 바람개비, 텐트 등을 이용해 까치퇴치에 나섰지만 날로 늘어나는 까치에는 역부족이어서 궁여지책으로 총포를 사용, 까치포획에 나서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일선 자치단체는 불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도로 600m안에서는 총기를 사용할 수 없고 전력사고는 유해조수 포획허가 대상이 아니다’라는 조수보호 및 수렵에 관한 법률에 어긋나기 때문.

게다가 도심 도로변에서 총기를 사용할 경우 안전사고 발생이 우려된다는 것이다.

이에대해 한국전력 경기지사 허광엽운영관리과장은“행정기관의 불허방침은 까치로 인한 한전의 피해와 주민들의 피해를 무시한 처사”라며“이번에 사용하는 총기는 경기용 실탄이기 때문에 안전문제는 걱정할 수준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와관련 경기도 관계자는“한전의 결정은 현행법에 위배되고, 주민들의 안전을 도외시한 처사”라며“낚시대, 그물 등으로 까치를 포획하면 되는데 굳이 총기를 사용하려는 것은 행정편의주의적 발상”이라고 말했다. /김창우기자 cw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