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선 세무서가 정당한 재산분할인지 여부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이혼부부에게 양도소득세, 증여세를 부과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심판원은 7일 여성이 이혼하면서 정당한 재산분할을 받았는데도 등기상에는 증여로 기록돼 세무서가 남편에게는 양도소득세, 여성에게는 증여세를 부과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밝혔다.
심판원 관계자는 “이런 내용의 국세심판청구가 적지 않게 들어오고 있어 국세청이 잘못 부과한 것으로 판정을 내리고 있다”면서 “세무서는 재산증식에 기여한데 따른 정당한 재산분할인지 여부를 정확히 조사한 뒤 과세여부를 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A씨는 남편과 이혼하면서 정당한 재산분할로 부동산을 명의이전 받았는데도 세무서는 위자료로 받았다고 보고 남편에게는 양도소득세, A씨에게는 증여세를 부과했다.
심판원은 A씨가 직장에 다니는 등 재산증식에 기여한 점이 분명한 만큼 명의이전 받은 부동산은 위자료가 아닌 재산분할이며 따라서 세무서의 세금부과가 잘못됐다는 판정을 내렸다.
심판원은 이와 함께 피상속인이 사망전 2년안에 가액 1억원 이상에 이르는 부동산을 처분했을 경우 그 사용처가 불분명하면 현금상속으로 보고 상속세를 부과하고 있으나 피상속인을 포함한 동거가족에게 특별한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생활비를 상속가액에서 공제해야 한다는 판결을 내렸다./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