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의 한 고위 관계자는 6일 “여야 총재회담의 10일 개최는 불가능하다”면서 “열리면 개각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 ”여야 총재회담은 양자(국민회의, 한나라당)회담이 아니라 자민련이 포함된 3자회담 형식이 돼야 하며 양자회담은 어떤 일이 있어도 수용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총재회담은 선거법 처리 상황과 여야간 고소·고발 취하 문제, 총재회담의 형식 등이 정리된 뒤 오는 13일께로 예상되는 개각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현안타결을 위한 협상이라면 국민회의와 한나라당 양자만 할 수도 있지만 대화합의 성격을 띤 회담에서 55석의 의석을 가진 자민련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또 11일 이후 자민련 박태준총재가 총리로 취임할 경우 누가 총재회담에 참석하게 될 것인지에 대해 ”자민련을 대표하는 사람이 나오면 된다“고 말해 김종필총리가 명예총재 자격으로 나올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이 관계자는 ”3자 총재회담이 끝난 뒤 필요하다면 양자회담을 할 수도 있지 않느냐“는 절충안을 내놓아 여야간 물밑교섭 결과가 주목된다./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