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13 총선에서 도내 선거구가 최대 7곳이 늘어날 전망이다.5일 여야는 막바지 선거구제와 관련된 선거법 협상 벌여 선거구 당 인구 상·하한선과 정당별 비례대표 선출에 대한 의견 접근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성남 분당과 고양 일산, 고양 덕양, 용인, 의정부, 남양주의 분구가 예상되고 복합선거구인 하남·광주 선거구가 단일선거구로 각각 나눠질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현재 각각의 인구가 12만명을 넘어선 하남·광주 복합선거구는 여야가 인구하한선에 대해 8만5천명으로 하자는데 의견 접근이 이뤄질 경우 단일 선거구로 분구된다.
이 경우 현역 의원인 국민회의 정영훈 의원과 문학진 전 위원장간의 갈등이 봉합될 것으로 보여 환영을 받고 있는 반면 한나라당은 새로 조직책을 선정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돼 향후 선거구 획정문제가 남게 된다.
또한 상·하한선에 대한 인구 편차 4대1을 적용해 상한선에 대해서는 한나라당의 3.76대1인 32만명과 국민회의의 34만명 주장이 남아있으나 이미 38만명에 육박한 성남 분당과 고양 일산, 고양 덕양은 분구가 확실하고 남양주와 용인, 의정부는 향후 여야의 조율과정을 거쳐야 할 것으로 전망돼 최소 4석에서 최대 7석이 늘어날 전망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