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2일 “확고한 한·미 안보 공조기반위에 일관성과 인내심을 갖고 햇볕·포용정책을 지속하면 올해는 남북, 북미, 북일관계에 상당한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이날 미 CNN방송이 녹화방영한 뉴밀레니엄 100시간 방송 특집프로에 출연해 “새천년에는 한반도가 분쟁과 갈등의 지역이 아니라 평화와 협력의 지역으로 변할 가능성이 많다”고 전망했다.
김 대통령은 또 ‘북한의 핵개발이나 미사일 문제가 새천년에도 안정 저해요인으로 새롭게 대두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핵문제는 북한이 제네바협정을 이행하고 있고, 우리도 경수로 발전소를 착공하는 등 사정이 다소 나은 편이나, 미사일문제는 앞으로 북한과 힘들고 때로는 짜증스러운 협상을 계속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내다봤다.
김 대통령은 이어 “남북문제에 있어 나는 무조건 낙관적이지 않다”면서 “북한이 약속을 지키면 그에 상응한 도움을 주고, 그렇지 않을 때는 고통스런 대가를 받도록 하는 ‘당근과 채찍’을 같이 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통령은 “한국을 둘러싼 4대국이 한반도에서 전쟁재발이 있어서는 안된다는데 의견이 일치하고 있는 만큼 북한만 전쟁을 포기하면 전쟁의 위협은 완전히 제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대통령은 북한상황에 대해 “주민의 의식주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북한 정권의 불안요인은 근본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그러나 대안이 없는 데다 김정일 총비서는 당·정·군을 완전 장악하고 있어 단기적으로 보면 안정돼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김 대통령은 ‘김정일과 남북정상회담에서 만나면 무슨 말을 하겠느냐’는 질문을 받고 “남북간에 전쟁을 해서는 안된다는 것과 우리가 북한경제를 돕고 싶다는 뜻을 전하면서 우리가 도와주면 북한도 성공할 수 있고 우리가 먼저 도와야 미.일 등 다른 나라도 나설 것이란 점을 밝힐 것”이라며 “우리가 바라는 것은 당장의 통일이 아니라 평화통일의 기반을 닦자는 것도 밝힐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통령은 남북문제에 대해 “결론적으로 말해 남북관계를 기본적으로 개선해 평화교류를 확대해 나가면 앞으로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은 크게 기대해도 좋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유제원기자 jw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