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신년초 여야 총재회담 개최’에 의견이 모아짐에 따라 29일 구체적 일정과 회담 방식, 의제 등에 대한 조율작업에 본격 착수했다.
특히 여야는 이번 회담이 구체적 정국현안에 대한 논의보다는 새 밀레니엄을 맞아 국민의 정치불신을 씻고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뉴밀레니엄 정치공동선언’에 초점이 맞춰져있는 만큼 대국적 견지에서 상생의 정치실현을 위한 구체적 방향설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원칙 아래 조율작업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이와함께 선거법 협상의 가닥이 잡히는 등 현안에 대한 진전이 있을 경우 이 문제도 총재회담에서 다룰 수 있다고 보고 여야간 정국쟁점 사항에 대한 점검작업도 병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따라 청와대 한광옥(韓光玉)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한 여권 핵심인사들과 한나라당 하순봉(河舜鳳) 사무총장, 윤여준(尹汝雋) 여의도 연구소장 등은 이날부터비공식 접촉을 통해 회담날짜와 상호 희망의제에 대한 이견절충에 들어갔다.
이날 접촉에서 여권은 여야가 국정운영의 동반자로서 상호 협력하고, 문제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원칙을 견지하되 최대한 관용으로 대처하겠다는 ‘과거불문’ 용의를 밝히면서 ▲낡은 정치행태에 대한 반성 ▲향후 생산적인 여야관계 정립 ▲지역대립 배격 및 국민화합 실현 ▲16대 총선의 공명실천 등 10개항의 의제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대해 한나라당측은 상생의 화합정치 실현을 위해서는 여야간 신뢰관계 회복이 관건이라는 입장과 함께 ▲김 대통령의 당적이탈 문제 ▲검찰과 국가정보원의 제자리 찾기 ▲여야간 상호존중과 대화 및 긍정적 협력 등을 구체적 논의사항으로 제시하면서 이에관한 실천 가능한 합의가 필수적이라고 주장, 논란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나라당측은 회담의 취지를 감안,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회담을 개최하는것이 바람직하다며 신년 첫째주를 제안한 반면 여권은 충분한 사전조율을 거쳐 총재회담의 성과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날짜는 융통성 있게 결정하자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여권은 이날 접촉에서 자민련도 원내 제3당이고 미래를 지향하는 정당인만큼 총재회담에는 자민련 총재도 참석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하는 등 회담 형식에 대해서도 한나라당과 견해차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